[산업일보]
정부가 2050년까지 탄소 중립을 선언한 가운데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이하 에기평)이 국가적 목표 달성을 위해 ‘재생에너지 중심 전력공급체제에서 그린 수소와 배터리의 역할’을 주제로 ‘제4회 탄소중립 테크포럼’을 개최했다고 22일 밝혔다.
정부 주도의 그린뉴딜 정책이 진행 중인 상황에서 개최된 이 날 화상 회의는 박가우 (주)지필로스 대표이사, 진창수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 구회진 한국전지연구조합 본부장, 류순도 한국동서발전 차장, 이송인 전북테크노파크 단장, 수소융합얼라이언스추진단의 조성국 본부장 등 각계 재생에너지 전문가들이 참석해 열띤 토론을 펼쳤다.
구회진 한전연 본부장은 “ESS는 재생에너지와 연계해 부하 평준화, 출력 안정화, 주파수 조정 등의 역할을 수행, 탄소 중립 구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산업”이라며, “안전한 완제품에 대한 보급 여건 조성을 위해서는 기업의 자가 인증제도, 에너지 바우처 사업연계, 차세대 배터리 기술개발 지원 등 정부의 다양한 지원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ESS는 태양광, 풍력 등에서 발전되거나 전력계통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배터리에 저장한 후, 필요할 때 공급하는 에너지저장시스템이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국내에서는 전기요금 할인, REC(신재생공급인증서) 등 보급 지원정책에 힘입어 2017년부터 급격히 확대 중이다.
이에 류순도 한국동서발전 차장은 “정부에서 P2G(Power To Gas)와 연계된 ESS의 인센티브 지원 등이 마련되면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유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수소 경제 실현을 위한 궁극적인 미래자원으로 그린 수소의 중요성을 강조한 이송인 전북테크노파크 단장은 “재생에너지 잉여 전력을 활용해 수전해 그린 수소 생산과 P2G(전력가스화) 전환 과정에서의 손실, 그린 수소의 경제성 부문 등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그린 수소의 보급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간편한 사용과 안전, 경제성 등의 확보가 필수적이다. 소비자를 유인할 방법에 대해 조성국 본부장은 “실증사업 확대, 보조금 지원, 제품 안정성 확인을 위한 인증방안 수립 등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이 필수적”이라면서 “P2G와 ESS의 비용 편익 분석을 통해 경제성 향상을 위한 방안 등에 대해 고민이 있어야 한다”고 꼬집었다.
이번 포럼의 좌장을 맡은 이성호 에기평 단장은 “수입보다 자체 생산이 경제적이므로 소비 감축과 재생에너지 중심의 전기화를 통해 탄소 중립에 대응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또 “수소의 안정성 문제를 고려해 활용처 확보에 신중한 고민이 필요하다”면서 “전기 사용이 불가능한 제철, 고온열원, 항공 해운 등 분야에 활용되는 것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