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상황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이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이 여론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거주 만 18세 이상 남녀 1천 명을 대상으로 ‘일자리 전망 국민 인식’을 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77.3%(10명 중 8명)는 올해 고용상황이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과 비교해 악화될 것이라 응답했다.
특히, 20대 응답자 과반은 올해 고용상황에 대해 ‘매우 악화될 것’(53.2%)이라고 전망했으며 ‘매우 개선될 것’이라는 응답은 없었다.
일자리가 향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업종은 반도체(21.4%)였다. 바이오 등의 신사업(20.6%)은 그 뒤를 이어 고용 증가에 대한 기대가 큰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일자리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 업종은 숙박·음식점업(22.5%), 기계·선박·철강(17.4%), 건설(14.5%) 등으로, 대면 서비스 업종의 고용 악화 우려가 여전히 큰 것으로 보인다고 한경연 측은 설명했다.
올해 고용상황이 악화될 주된 원인으로는 코로나19 지속(45.3%)이 첫 번째로 꼽혔다. 국회·정부의 기업규제 강화(26.3%), 정부의 친노조정책(10.7%), 기업경영실적 부진(10.5%), 신성장 동력 산업 부재(7.2%) 등의 응답도 뒤를 이었다.
이러한 고용 여건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기업 규제 완화(24.9%), 고용시장 유연화(21.9%) 등이 중요한 과제로 제시됐다.
고용 전망과 마찬가지로 월급에 대한 전망도 암울한 것으로 나타났다. 10명 중 약 7명인 68.9%의 응답자는 물가 대비 월급이 오르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향후 소득 향상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에 대한 질문에는 ▲주식, 부동산 등 재테크(32.9%) ▲업무역량 강화 및 승진(14.9%) ▲창업(9.1%) ▲이직(7.8%) 순으로 응답이 나타났다. ▲기타 응답은 35.3%였다.
한경연 관계자는 ‘코로나19 완화 분위기에도 국민들이 고용 상황을 여전히 부정적으로 전망하는 것은 그만큼 경제 성장 활력이 약화된 것’이라며 ‘일자리 창출을 막는 규제를 완화하고 기득권의 진입장벽을 낮춘 고용시장 조성이 우선돼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