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코로나19 장기화 국내 수출기업 어려움 가중
김인환 기자|kih2711@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코로나19 장기화 국내 수출기업 어려움 가중

기사입력 2021-10-19 19:03:22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산업일보]
코로나19가 장기화하면서 국내 수출기업의 어려움도 커지고 있다. 정부의 시의적절한 사업 전환 및 이에 따른 예산 편성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더불어민주당 신정훈 의원(나주·화순)이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이하 코트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오프라인 현장실사가 급격히 위축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부·장 분야의 수출 계약은 체결 전 공장실사를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이기에, 코트라는 그동안 오프라인의 방식으로 방한 공장실사를 지원해왔다.

코트라는 2017년부터 지난달까지 핀포인트 방한상담회 125건 가운데 총 48건의 오프라인 현장실사를 지원했다. 코로나 전 2019년 15건이었던 현장실사는 코로나 이후인 2020년 5건으로 급감했고, 올해는 9월까지 단 한 건도 이뤄지지 못했다.

이에 코트라는 방한 공장실사를 디지털로 전환해, 국내 소·부·장 중소, 중견기업을 지원하고 있지만 실적이 그리 좋지 않다. 2020년 11월부터 올해 3월까지 총 9건의 디지털 현장실사 사업을 지원하는 데 그쳤으며, 지원액은 총 6천100만 원에 불과했다.

실시간 중계도 활발하게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디지털 현장실사의 진행방식을 보면 6건은 사전녹화, 3건은 실시간 중계로 진행됐다. 일반적으로 사전녹화는 국내기업의 공장 설비 및 제조과정을 촬영해 바이어에게 전달하는 방식이며, 실시간 중계는 국내기업과 바이어가 동시에 접속해 공장 실사를 진행한다.

오프라인 현장실사를 대체하는 사업인 만큼 아무래도 사전녹화 방식보다는 실시간 중계가 효과적이나 시차 문제로 유럽, 북미 등 바이어 실사 수요 발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예산도 부족하다. 온라인 실사 중계업체 선정시 국내기업 공장의 규모, 복잡성 등 요인에 따라 단가가 올라가지만 제한된 예산으로 인해 다수 기업 지원이 어렵다. 그동안은 예산이 없어 타 사업 잔여 예산을 활용해 지원이 이뤄졌다.

신정훈 의원은 “위드 코로나가 시작된다고 하더라도 당분간 여건상 제약이 따를 수 밖에 없다. 디지털 현장실사 시스템을 좀 더 체계적으로 갖춰 오프라인 방한 공장실사와 효과적으로 병행할 필요가 있다. 현장 기업들의 면밀한 수요 파악을 토대로 디지털 현장실사 사업의 확대와 안정적 운영을 위한 예산 확보가 시급하다”라고 강조했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현장의 생생함을 그대로 전달하겠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