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벤처기업, 재무 안정성 중심에서 혁신성 평가 중심으로 변화
김성수 기자|kss@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벤처기업, 재무 안정성 중심에서 혁신성 평가 중심으로 변화

기사입력 2022-03-17 18:54:13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벤처기업, 재무 안정성 중심에서 혁신성 평가 중심으로 변화

[산업일보]
벤처기업 확인제도 개편 이후 벤처투자유형 및 연구개발유형 비율 증가로 벤처확인 유형 편중 현상이 완화될 것으로 보인다.

중소벤처기업부( 이하 중기부)는 벤처다운 벤처기업 발굴을 위해 ‘민간주도 벤처기업확인제도’ 전면 시행한 이후 1년의 변화와 성과를 발표했다.

’벤처기업확인제도‘는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이하 벤처기업법)'에 규정된 일정 요건을 갖추고 기술 혁신성 및 사업 성장성이 우수한 기업을 벤처기업으로 확인해 지원하기 위한 제도다.

개편 전의 공공기관 중심 벤처확인제도(2006~2020년 )는 벤처기업 수의 양적 확대에는 크게 기여했으나, 보증․대출 유형에 편중(85%)됐다는 지적 등이 있어 보증‧대출 유형은 폐지하고, ’민간전문가 중심의 벤처기업확인위원회‘가 벤처기업 여부를 판단하는 제도로 개편했다.

새롭게 신설한 혁신성장유형의 경우 기술 혁신성과 사업 성장성을 체계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기업의 업력과 업종에 따라 차등화한 평가지표를 마련해서 기업인, 연구원 등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벤처기업확인위원회가 벤처기업을 확인하는 데에 활용하고 있다.

일반 현황
벤처기업수는 벤처기업법에 따른 확인제도가 시행된 1998년 2천42개사에서 제도 개편 전인 2020년 말에는 3만9천511개사까지 지속적으로 성장해 ‘제2벤처붐 조성’ 등 벤처생태계의 기반을 형성했다.

제도 개편 후인 지난해 말은 3만 개사로 전년말 대비 1천192개사가 감소했다. 이는 ’2021년에 확인 받은 기업수(1만7천956개사)보다 벤처확인 유효기간이 만료된 기업(1만9천133개사) 등이 더 많기 때문이다.

또한, 제도가 변경되기 전 벤처확인을 앞당겨 받은 기업이 증가했고, 제도 변경(2021년 2월12일) 직후인 2021년 상반기에는 감소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유형별 벤처확인 현황
벤처기업 전체를 유형별로 보면, 제도변경 직전인 2020년 년말에는 보증․대출 유형이 가장 높은 85.1%를 차지하고 있었으나, 2021년 2월에 혁신성장유형을 신설했다. 지난해 말에는 벤처투자유형 7.3%에서 10.5%, 연구개발유형이 7.3%에서 11.6%로 증가했다.

제도 변경 후 혁신성을 강조하는 평가기준 도입과 업력별 특성에 맞는 차별화된 평가지표 운영 등에 따라 업력이 3년이상 7년 미만의 기업이 차지하는 비율이 소폭 증가했으며, 상대적으로 7년 이상의 기업의 비율은 소폭 감소했다.

이는 7년 이상의 기업이 보증‧대출 등을 받으면서 자연스럽게 벤처확인을 받아온 종전과 달리, 7년 이상의 벤처기업에게는 상대적으로 세액 감면 혜택 등이 적어 별도로 벤처확인을 받을 필요성이 감소한데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형별로 보면 벤처투자유형의 경우 3년 미만 기업과 3년에서 7년 사이의 기업 비중이 각각 9.2%에서 15.3%, 1.5%에서 3.0%로 증가했으며, 연구개발유형의 경우에도 각각 3.4%에서 6.2%, 1.0%에서 2.7%로 증가했다.

기업 대표자의 연령이 청년층(~39세)에 해당하는 벤처기업의 확인 비율이 25.5%에서 28.2%로 많아졌다. 벤처기업 대표자의 평균 연령이 낮아지는 결과와 함께 20세 미만의 대표자가 운영하는 2개사도 벤처기업 확인을 받았다.

제조업 감소, 지식기반 서비스업의 비율 증가
제도 변경 후 기술․사업성의 혁신성이 높게 고려되는 평가 특성에 따라 지식기반 서비스업의 비율은 35.8%에서 40.5%로 증가한 반면, 제조업의 비율은 55.8%에서 48.5%로 감소했다.

유형별로 살펴보면, 지식기반 서비스업에서 벤처투자유형은 개편 전‧후 7.2%에서 12.3%로, 연구개발유형의 경우 2.3%에서 5.0%로 각각 증가했다.

지식기반 서비스업 내에서도 ’컴퓨터 프로그래밍, 시스템 통합 및 관리업(12.0%→13.3%)‘, ’정보서비스업(13.2%→14.7%)‘, ’연구개발업(7.8%→10.6%)‘이 상대적으로 증가 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벤처기업의 업종별 비중을 통해 ’코로나 팬데믹‘, ’4차 산업혁명 도래‘ 등으로 우리나라 산업구조가 변화되고 있음을 판단할 수 있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비대면 벤처기업의 비율 증가
최근 코로나 팬데믹 이후, 비대면 기업 분류를 시작한 2020년말 25.6%에서 1년이 지난 2021년말에는 33.1%로 비대면 벤처기업이 차지하는 비율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는 것도 알 수 있다.

민간주도 벤처기업확인제도가 안정적인 운영을 보임에 따라 ’벤처기업확인위원회‘는 꾸준한 내부 의견 수렴과 논의를 통해 신규 신청기업과 재확인 신청기업간의 평가지표를 차별화 할 예정이다.

특히, 재확인 신청기업의 경우 기존의 확인기간 동안에 발생한 기업의 혁신성 증가 정도에 따라 벤처기업 확인여부를 판단하는 등 평가지표 고도화 작업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평가지표 내에 업종․분야․연차별로 평가지표를 차별화하고 기업이 평가지표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등 신청기업의 다양한 기업특성에 맞는 평가지표를 개선 중에 있다. 벤처기업확인을 받은 기업의 데이터가 체계적으로 관리됨에 따라 ’벤처기업종합관리시스템‘을 통해 제공하는 통계자료도 다양화해져 일반인들이 쉽게 벤처기업 통계를 알 수 있도록 제공할 예정이다.

벤처기업확인위원회 정 준 위원장은 "지난 1년 간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벤처기업확인위원회 위원들이 벤처다운 혁신기업 선별의 역할을 기대 이상으로 잘 수행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중기부 박용순 벤처혁신정책관은 “벤처확인제도가 빠른 시일 내에 안정화를 이룬 것으로 평가한다”며, “향후 혁신성장 유형의 평가지표를 고도화하면서 벤처투자유형과 연구개발 유형 기준도 현시점에 부합한 지 살펴볼 예정”이라고 밝혔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산업 관련 정책과 동향을 전달하기 위해 여러분과 만나겠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