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0 탄소중립 비전에 앞서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을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하겠다’는 계획이 필요합니다.”
2일 경기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탄소중립 정책 및 금융·세제 지원 세미나’에서 ‘산업부문 탄소중립 추진을 위한 주요 과제’를 주제로 발표한 정은미 산업연구원 성장동력산업연구본부 선임연구위원은 이같이 말했다.
급속한 온실가스 감축 추진은 재생에너지 발전원과 녹색기술경쟁력이 취약하고 제조업 생산 비중이 높은 한국의 산업구조에 도전적인 과제다.
정은미 선임연구위원은 “주요국의 온실가스 감축 사례를 보면 정점에 이른 산업화가 엄청난 구조조정 시기를 겪었고 그중 대부분의 주력산업, 제조업들이 탈산업화·탈공업화를 겪었음을 알 수 있다”며 “제조업 비중이 매우 높은 한국 산업이 어떤 방향성을 갖고 나아갈 것인가의 중요한 기로”라고 말했다.
한국은 산업부문이 국가 전체 온실가스 배출의 54%를 차지한다. 산업군에서 온실가스 배출 비중을 이처럼 많이 차지하는 이유는 기초소재·핵심부품을 공급하는 기간산업이 주인 산업구조에서 비롯됐다. 그는 “특히 제조업 부문에서 높은 수준의 글로벌 경쟁력을 가진 한국 산업생태계를 고려한 정부 전략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정 연구위원은 우리가 가진 벨류체인을 유지·강화하면서 탄소중립 시대에 적응하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하겠다’는 생각으로 적극적인 기술개발을 통해 설비를 구축, 도입해 감축까지 가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말했다.
혁신 공정, 원료 혁신, 연료 전환, 자원순환, 대체가스 개발 순으로 이 단계를 설명한 그는 “수소환원제철 기술 등 선진국의 기술을 한국도 가졌다는 것에 만족하지 않고 주도하기 위해서는 연구개발에 대한 투자가 산업 생태계 전반, 국가적 관점에서 추진돼야 한다”고 말했다.
디지털 전환과 탄소 중립은 산업의 생산·소비 방식을 바꾸면서 말 그대로 산업구조를 완전히 바꿀 것으로 예상된다. 이 대전환을 위한 상용화의 불확실성을 완화하고 속도를 내는데 국가의 적극적인 역할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