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특허청이 반도체 등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경쟁력 강화 및 우수특허 확보를 위해 ‘후속진단 특허기반 연구개발 전략(IP-R&D)’을 지원한다.
특허청은 2019년부터 산업부 등의 소부장 과제에 특허기반 연구개발 전략(IP-R&D)을 전면 적용해 연구개발 초기에 특허전략을 지원해왔다. 이에 특허전략 이행상황을 점검·보완하고, 그간의 성과를 권리화할 필요성이 제기됐다.
이같은 업계 의견을 반영해 마련된 ‘후속진단 특허기반 연구개발 전략(IP-R&D) 지원’은 1년 이상 경과한 과제를 대상으로 추가적인 연구개발(R&D)방향 점검 및 권리화 보강전략을 올해 말까지 지원한다.
특허청 산업재산정책국 산업재산창출전략팀의 박승배 사무관은 본보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제공된 특허 전략이 얼마나 잘 이행됐는지, 상황 변화나 도출된 연구개발 성과 등을 종합적으로 조사 분석하는 후속 컨설팅 개념”이라며 “추가 지원이 필요하거나 권리화가 필요한 사례들을 선발해 지원한다”고 설명했다.
특허청은 후속진단 필요성과 기대효과 등을 평가해 파워큐브세미(전력반도체), 윤성에프앤씨(배터리 장비) 등 22개 중소·중견기업과,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전장용 MLCC 소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수소 이차전지) 등 8개 대학·공공연구기관을 선정했다.
지난 3년간(2019년~2021년) 소부장 연구개발 과제(764개)에 사업 지원한 결과 1,175건의 특허 성과가 도출됐다.
또 수입 대체, 분쟁 예방, 연구개발 비용 절감으로 정부 지원 대비 14.4배인 약 8,500억원 경제적 효과도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