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일보]
네이버가 한국어 최적화 대규모언어모델(이하 LLM) 인공지능(이하 AI) ‘하이퍼클로바X’를 24일 공개했다. ‘하이퍼클로바X'는 네이버가 2021년 개발한 하이퍼클로바의 업그레이드 버전이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24일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파르나스에서 열린 ‘팀네이버 컨퍼런스 단23’에서 ‘하이퍼클로바X’를 소개하며 “생성형 인공지능(이하 AI)이라는 파도를 맞이할 준비를 마쳤다”고 자신감을 드러냈다.
그는 기조연설에서 “AI와 결합한 대규모 서비스 운영 경험, 광범위한 데이터 확보, 이를 뒷받침할 인프라가 하이퍼클로바X의 경쟁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네이버는 하이퍼클로바X 개발을 위해 영업수익의 22%를 연구개발에 투자했다. 공개 행사 이전부터 개발한 AI 기술을 파파고, 클로바노트, 쇼핑, 페이 등 자사 서비스 곳곳에 적용해 운영 경험을 축적하고, 양질의 데이터를 확보했다. 60만 유닛 이상의 초대규모 데이터센터도 건설 중이다.
최수연 대표는 “네이버는 생성형 AI 시대에도 모두의 기술경쟁력이 되는 것을 지향한다”면서, “사업과 창작을 지원할 수 있는 최고 수준의 기술과 상품을 제공하겠다”라고 밝혔다.

개인 사용자와 창작자, 판매자와 광고주, 기업 모두가 사용할 수 있는 올라운드 생성형 AI 라인업도 공개했다.
이날 베타 테스트를 시작하는 대화형 AI ‘클로바X’는 창작, 추론, 요약, 번역, 코딩 등 다양한 답변을 제공하는 서비스다. 최 대표는 “사용자와 창작자의 일상 경쟁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판매자와 광고주를 위한 ‘CLOVA for AD'는 운영 시간과 리소스를 줄여 준다. 사용자의 니즈를 분석하고, 타겟에 적합한 콘텐츠와 광고 상품 등 판매에 도움이 될 추가요소를 제안한다.
‘클로바 스튜디오’, ‘커넥트 X’ 등 기업을 위한 서비스도 나왔다. 최수연 대표는 “AI 도입을 고민하는 기업을 위한 기술과 상품, 개발자‧디자이너‧기획자를 돕는 도구도 연이어 출시할 것”이라고 계획을 밝혔다.
최 대표는 “창작자‧사용자‧파트너사가 앞으로 펼쳐질 생성AI시대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기술과 서비스로 지지하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