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과거 차량 광고는 제로백과 같이 하드웨어적 성능을 강조했다면, 현재는 또 다른 개념의 소프트웨어, ‘모빌리티’로 접근하고 있다.”
자동차 미래기술에서, 이동수단으로써의 하드웨어 진화와 이를 소비자와 연결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합서비스’가 핵심으로 강조되고 있다는 말이다.
현대모비스 이창원 책임연구원은 ‘2023 데이터 그랜드 컨퍼런스’에서 ‘미래 모빌리티와 AI 기술’이라는 주제의 강연에서 과거와 현재의 차량 홍보 포스터를 비교하며 위와 같이 언급했다.
그는 “미래 모빌리티란 사람과 물류의 이동을 위한 하드웨어·서비스·생태계를 포함한 거대 제품군”이라며 “단순한 이동의 개념을 넘어서 새로운 경험의 가치를 제공하는 모빌리티의 개념의 비즈니스로 변하고 있는 것”이라고 밝혔다.
결국, 소비자와 접점을 갖는 서비스가 더 각광받는 시대가 됐다는 것이다. 이 책임은 이 때문에 하드웨어적 연결·서비스 통합 기술·제공 플랫폼 등에 대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술이 미래 모빌리티의 핵심기술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창원 책임은 다양한 선행기술을 개발하고 있다며, 미래 스마트 모빌리티를 두고 네 가지 예측을 내놨다. 우선, 자율주행에서는 자동차와 로봇 간의 간극이 옅어지고 있다고 봤다. 자율주행은 자동차를 중심으로 적용되고 있지만 로봇 분야에서는 기존부터 활용돼왔다. 때문에 더 이상 차량과 로봇의 경계가 없는 ‘그레이존(gray zone)’이 완성됐다는 설명이다.
플랫폼을 공유하고 외장만 바꾸는 구동체 개념의 ‘Purpose Built Vechicle’도 소개했다. 플랫폼의 공유로 개발비용을 낮출 수 있어 다품종 소량 생산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개인소유의 리테일 시장에서 라이드 쉐어링(차량 공 유), 헤일링(호출형 공유) 시장까지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Urbanization(도시화)의 관점에서, 대도시로 사람이 몰리며 물류와 수송이 확대되고 있다. 주차효율, 친환경적 공간 활용 부분에서의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자율주행 시대가 다가오며, 이동을 넘어선 또 다른 가치를 제공해야 한다는 과제도 있다. 모두가 승객이 되는 상황에, 정서적·심리적 안정감을 줄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 책임은 “여러 관점으로의 모빌리티 전환을 위한 핵심 요소기술과 융복합을 통한 통합 플랫폼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라고 말을 이었다. Purpose Built Vechicde에 쓰이는 플랫폼이나, 차량제어·구동을 위한 센서 등의 하드웨어, 종합 제어 컨트롤러를 위한 반도체 같은 것들이다.
그는 “자동차 관점에서 기술 변화는 다양한 센서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들을 커넥팅하고, 이 융합된 데이터를 통해 종합적 판단을 함으로써 고객에게 공간에서의 가치를 재창조해 제공하려 한다”라고 해설했다.
이어, 경기도 공공버스에 적용 중인 ‘뇌파기반 안전운전 지원 시스템’을 비롯해 다채로운 연구·개발 기술을 공개하기도 했다.
이창원 책임은 “현대모비스는 사용자를 위한 인간 중심의 기술을 빠르게 개발하고, 소프트웨어 기반의 융복합 인재 영입으로 시스템 엔지니어 관점에서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라며 “현재 많이 이용되고 있는 AI 기술을 활용해 보다 나은 서비스와 기술을 제공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