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그래픽뉴스] 3월 초 수출입실적, 13억 달러 적자 기록 중
김성수 기자|kss@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그래픽뉴스] 3월 초 수출입실적, 13억 달러 적자 기록 중

반도체·선박 수출 증가, 승용차·석유는↓

기사입력 2024-03-13 07:00:57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그래픽뉴스] 3월 초 수출입실적, 13억 달러 적자 기록 중

[산업일보]
한국의 3월 초 수출은 135억 달러, 수입은 148억 달러로 수출입실적은 13억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관세청이 발표한 ‘2024년 3월 1일~3월 10일 수출입 현황’ 보도자료에 따르면, 이 기간 우리나라 수출은 전년 같은기간 보다 13.4% 감소했고, 수입은 28.6% 줄어들었다.

관세청은 2023년 이 기간 조업일수가 7.5일이었고 올해는 6.0일이었음을 고려했을 때, 일평균 수출액은 2023년 20.8억 달러, 올해는 22.6억 달러로 8.2%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2023년 3월과 비교해 보면, 수출 주요품목 중 반도체는 21.7%(23억→28억 달러), 선박은 431.4%(2억→8억 달러) 상승했다. 반도체 수출 비중은 20.3%로 5.9%p 늘어났다. 반면, 승용차는 33%(17억→11억 달러), 석유제품은 29.3%(14억→10억 달러) 하락했다.

수출 주요국가는 홍콩이 60.9%, 싱가포르가 14.7% 증가했다. 수출 상위 3국인 중국, 미국, 유럽연합의 수출비중은 49.6%였는데, 각각 8.9%, 16.3%, 14.1%씩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액은 중국 29억 달러, 미국 24억 달러, 유럽연합 15억 달러 등이다.

수입 주요품목을 살펴보면, 원유 11.5%(25억→22억 달러), 반도체 17.1%(21억→18억 달러), 가스 58%(17억→7억 달러), 등 모두 줄어들었다. 특히 원유, 가스, 석탄 등 에너지 수입액이 32.9% 하락했다.

수입 주요국가 비중은 중국이 31억 달러로 21%, 미국이 17억 달러로 11.6%, 유럽연합이 14억 달러로 9.2% 순이었다. 전년과 비교했을 때 중국(-32.7%), 미국(-26.1%), 유럽연합(-22.6%), 일본(-27.8%), 사우디아라비아(-0.7%) 등에서 감소했다.

한편, 지난 1월부터 3월 10일까지 누계된 수출액은 1천206억 달러, 수입액은 1천172억 달러로 무역수지는 34억 흑자였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산업 관련 정책과 동향을 전달하기 위해 여러분과 만나겠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