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경기도 화성에 위치한 리튬배터리 공장인 아리셀의 폭발 사고와 청라아파트단지의 전기차 폭발 사건 등으로 인해 배터리 화재 사건에 대한 국민들의 경각심이 커져가고 있는 가운데, 리튬배터리와 관련한 화재를 진압하고 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안전 기술 개발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소방청 화재대응과 김학근 조사과장은 12일 기본소득당 용혜인 의원 주최로 국회에서 열린 ‘아리셀 화재 유사 사고 재발 방지대책 마련을 위한 화성공장 화재 대책과 개선 방향 토론회’의 발제자로 나서 지금까지의 조사 내용을 바탕으로 한 사고 발생의 문제점과 향후 정책 개선 방향을 제시했다.
김 과장이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현재까지 조사된 현장 감식과 재현실험, CCTV 영상 분석등을 토대로 분석한 결과 이번 리튬배터리 열폭주 발생 원인은 배터리 제조 공정상 분리막 손상 등 주요 부품소재의 불량 및 셀 내부 이물질 혼입 등으로 야기된 배터리 내부단락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그는 “발화동 2층 작업장 내 약 3만5천 개의 리튬배터리가 적재돼 있었고 단일 전지에서 열폭주가 발생해 배터리가 연쇄적으로 폭발했다”며, “폭발한 배터리 셀이 작업장 내부로 비산된 후 화염이 분출되면서 지속적으로 연소가 확대되고 순간 증폭형 화재 양상으로 진행됐다”고 이번 화재에서 불길이 급속도로 번진 이유를 설명했다.
특히 김 과장은 이번 화재를 통해 무려 23명이나 사망한 것에 대해 물리화학적, 교육, 훈련적 측면 외에도 작업장 내 간이벽 설치‧복잡한 피난 동선‧협소한 창문‧배터리 저장공간 미분리‧다량의 배터리 한 장소에 보관 등 건축물 구조적 측면의 문제가 컸음을 지적했다.
“현재 국내 법령을 살펴보면 ‘전기저장시설 화재안전기준’에 2차 폭발을 예방할 수 있는 규정이 없고, 금속화 화재 유형 미분류로 인해 기술기준 등 법제도도 미비하다”고 언급한 김 과장은 “리튬 폭발의 전조현상인 오프가스 누출 감지 설비 및 관련 규정도 미비한 것은 매한가지”라고 강조했다.
김 과장은 이번 사태와 관련해 구성된 범정부 TF에서 논의되거나 검토 중인 방안들을 이 자리에서 소개하기도 했다.
크게 ▲화재안전 강화 ▲근로대상 교육 훈련 ▲현장대응 활동 ▲화재안전 기술개발 등의 분야로 분류해 대안을 모색 중인 TF팀 활동에 대해 설명한 그는 “현장대응을 위해 리튬배터리 화재 대응절차를 마련하고 유해화학물질 사고 대응 표준작전절차 개정 등이 논의 중”이라고 언급한 뒤 “화재 안전 기술 개발 차원에서는 금속화재 소화기 형식 승인 기술 기준 마련과 소규모 리튬전지 소화기기 인증 기준 도입, 배터리 제조‧취급시설 화재 예측 및 진압 기술 개발 R&D 사업 기획 추진, 1,2차 리튬배터리 열폭주 실험 및 특성 분석 등이 검토 또는 논의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