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계연, 자율 정박 가능한 자동 계류 시스템 국산화 성공
김진성 기자|weekendk@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기계연, 자율 정박 가능한 자동 계류 시스템 국산화 성공

와이어 파손으로 인한 인명 사고 원천 차단해 항만 안전성 대폭 강화

기사입력 2024-11-24 14:27:39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기계연, 자율 정박 가능한 자동 계류 시스템 국산화 성공
자율운항선박의 자동 계류 시스템을 개발한 한국기계연구원 가상공학플랫폼연구본부 신뢰성연구실 김용진 책임연구원(오른쪽)과 김영기 선임연구원(왼쪽)


[산업일보]
기존에는 선박의 정박을 위해 굵은 줄(계류삭)로 작업자가 선박을 직접 항구에 고정해 왔다. 이 방식은 배의 크기와 무게에 따라 높은 강도가 필요했으며, 자칫. 와이어가 끊어질 경우 사고 발생의 가능성도 컸다. 아울러 수동으로 항구에 고정하는 계류 작업에 상당한 인력과 시간이 소요됐다.

이에, 한국기계연구원(이하 기계연) 가상공학플랫폼연구본부 신뢰성연구실 김용진 책임연구원 연구팀은 배를 항구에 자동으로 고정하는 자동 계류 시스템을 개발했다. 진공 흡착패드와 4자유도 유압 기구의 통합 제어를 통해 선박을 안전하게 계류시킬 수 있는 기술이다.

이번에 개발된 자동 계류 시스템의 가장 큰 장점은 사람이 직접 줄을 매지 않아도 선박을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다는 점이다. 진공 흡착패드가 배를 항구에 밀착시켜 안전한 고정을 돕고 유압 시스템을 통해 자동으로 제어가 가능하다. 이를 통해 계류 작업의 정확성과 속도가 크게 향상되어 인명 사고 위험을 줄이는 한편 작업 속도가 빨라지고 인력 부족도 해결할 수 있다.

연구를 이끈 김용진 책임연구원은 “이번에 개발한 자동 계류 시스템은 자율운항선박이 안전하게 항구에 정박할 수 있도록 돕는 핵심 기술로 스마트 항만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며, “기존의 수동 계류 방식을 뛰어넘어 해양 산업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해양수산부 ‘스마트항만-자율운항선박 연계기술 개발’ 사업 중 ‘자동 계류 시스템 개발’ 과제로 진행됐으며, 한국기계기술단체총연합회 주관 ‘대한민국 올해의 10대 기계기술’에 선정됐다. 2025년 해상에서 최종 성능을 검증하고 이후 사업화 추진하는 등 기술 개발을 완료할 예정이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안녕하세요~산업1부 김진성 기자입니다. 스마트공장을 포함한 우리나라 제조업 혁신 3.0을 관심깊게 살펴보고 있으며, 그 외 각종 기계분야와 전시회 산업 등에도 한 번씩 곁눈질하고 있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