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전 세계에서 전기차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짐에 따라 시장의 규모 역시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전기차보다는 하이브리드 차랑에 대한 선호도가 아직까지 전기차보다 높아 전기차에 대한 ‘캐즘’현상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전기차를 구매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은 가장 중요한 요소로 ‘경제성’을 꼽았다.
한국 딜로이트 그룹이 전 세계 30개국 3만1천 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2025 글로벌 자동차 소비자 조사’ 리포트에 따르면, 전기차 구매를 결심한 이유에 대해 한국의 경우 ‘낮은 연료 비용(57%)’, ‘환경에 대한 우려(43%)’, ‘낮은 유지 및 관리 비용(38%)’, ‘정부 인센티브 및 보조금 구매촉진 프로그램(35%)’ 등으로 나타났다.
리포트에 따르면 여전히 전기차보다 내연기관 차량과 하이브리드 차량에 대한 선호가 유지되고 있다. 미국 62%, 동남아시아 및 인도 54%, 독일 53% 소비자가 가솔린 및 디젤(ICE)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배터리 전기차(BEV) 선호도는 각각 5%, 11%, 8%, 14%에 그쳤다. 반면 한국과 일본은 하이브리드(HEV) 선호도가 31%, 35%를 기록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한편, 새로운 차량을 구매할 때 스마트폰과의 차량 연결이 중요한지를 물어보는 질문에 대해서는 한국의 응답자 중 56%가 중요하다고 응답했다.
김태환 한국 딜로이트 그룹 자동차산업 전문팀 리더는 “탄소 무배출 차량으로의 전환과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 트렌드는 거스를 수 없는 대세로 부각되고 있으며 커넥티비티와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은 모빌리티의 발전을 견인하는 한편, 자율주행차 및 MaaS에 대한 입체적인 접근도 급부상하는 중”이라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