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일보]
“자율주행 기술을 향한 사용자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선 기술적 발전과 끊김 없는 통신 환경, 이를 뒷밤침할 수 있는 법·제도가 만들어져야 한다”
한국자동차연구원 곽수진 빅데이터·SW기술부문 부문장이 국회 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27일 열린 ‘자율주행 산업 지원 국회 토론회’의 발제자로 나서 이같이 강조했다.
그는 먼저 자율주행 산업의 최신 동향을 소개했다. 혼다(Honda)는 2021년 자율주행 LV3 단계의 자율주행 차량을 국가기관 중심으로 100대 한정 출시했다. 양산형 자율주행 차량을 철회했다는 데 시사점이 있다.
가전제품을 주력으로 하는 소니(Sony)는 카메라 기술을 기반의 자율주행 차량을 출시하면서 IT 기업이 자동차 산업으로 진출할 수 있다는 사례를 남겼다.
애플(Apple)의 위탁생산업체로 유명한 대만의 폭스콘(FOXCONN)은 오픈 플랫폼 컨소시엄 ‘MIH(Mobility in Harmony) 컨소시엄을 만들고 전장품 인터페이스의 표준화 등을 통해 전통적인 자동차 공급망을 새롭게 구성하려고 하고 있다.
미국 자율주행 기업 웨이모(Waymo)는 CES 2025에서 현대자동차의 아이오닉5를 기반의 로보택시를 출품했고, 중국 IT기업 바이두(Baidu)는 로보택시 RT6을 2026년 상용화할 계획이다.
테슬라(Tesla)는 주차상태에서 자율주행을 시작해 목적지 도착 후 다시 주차로 마무리하는 ‘Park to Park’ 기능을 구현하고 테스트 중이다.
곽수진 부문장은 “이렇게 발전 중인 자율주행 기술은, 자율주행 차량의 안전성을 어떻게 해결하느냐가 중요한 지점”이라며 “기존에는 운전자가 주행 과정에서 발생한 모든 책임을 부담했기 때문에 개개인이 알아서 문제를 해결하면 됐지만, 현재는 지원장치가 많아져 제조사가 책임을 부담하는 상황도 서서히 만들어지고 있다”라고 전했다.
이어, “앞으로 ‘완전 자율주행’이 이뤄지면, 모든 책임이 차량 제조사로 이동하게 될 것”이라며 “이를 위해선 전장품 오작동이 없어야 하고, 기술들이 인프라와 연관 없이 이뤄져야 한다는 전제가 필요하다”라고 해설했다.
그는 “자율주행 차량은 기존의 자율주행 부품이나 시스템 단위에서 그치지 않고, 서비스 사업으로 발전하고 있다”라며 “그 배경으로 AI(인공지능) CBM(CBM (Condition Based Maintenance)과 같은 다양한 IT 기술·연관 산업과 협업이 이뤄지고 있다”라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모든 자율주행 차량들은 AI를 적용하는 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기 때문에 얼마나 많은 데이터를 정확하게 확보하느냐가 관건으로, 고품질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고성능 컴퓨팅 시스템·실시간 추론을 위한 GPU, NPU 최적화가 필수적”이라고 덧붙였다.
곽수진 부문장은 “자율주행 기술을 향한 사용자들의 불안감을 기술적 발전과 법·제도 구축으로 해소해야만, 자율주행이 미래 성장 동력으로서 역할을 다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안전기준 정비 ▲산업규격(표준) 마련 ▲새로운 법규(ACSF(자동명령조향기능) 국제안전기준(R79)) 대응 ▲국제표준·산업규격 기반 제품 안전성 및 보안성 테스트 프레임워크 구축을 비롯한 대응방안을 제시했다.
더불어 “자동차 산업은 향후 차량 플랫폼, 하드웨어 플랫폼, 데이터 플랫폼과 같은 다층적인 플랫폼 구조로 변화할 것”이라며 “이러한 변화는 현재 수직계열화 돼 있는 자동차 산업 구조를 수평계열화로 이끌며 소프트웨어나 서비스 사업자가 제조사 위로 올라서는 모습을 보일 수도 있다”라고 예측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