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일보]
한국이 AI(인공지능) 강국으로 나아가기 위해선, 10년 이상의 장기 비전을 갖춘 일관된 정책 수립과 시행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KDB미래전략연구소는 최근 ‘프랑스「AI 국가 전략」주요내용’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프랑스는 2018년 ‘AI(인공지능) 국가 전략’을 수립하고, 체계적인 정책 추진과 대규모 예산 투입을 통해 AI 경쟁력을 탄탄히 하고 있다.
2018~2022년까지 1단계 연구역량 강화 전략을 통해 프랑스는 슈퍼컴퓨터 ‘Jean Zay’를 구축했다. 또 AI 연구소가 유럽 최대인 81개에 도달했고, AI 관련 300개 이상의 박사 과정을 생성해 매년 4만 명의 학생에게 대학·대학원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AI 스타트업 502개 사가 탄생해 근로자 수 1만 3천459명을 기록하기도 했고, 그 외 간접 일자리 7만 개가 창출됐다.
2021~2025년 2단계 AI 인재 양성 및 기술 확산 전략으로는 10억 유로를 투입해 프랑스 전역에 9개 고급 교육허브를 구축했고, AI 클러스터 중심 생태계를 조성했다. 예산은 임베디드AI, 생태전환AI, 초거대 언어모델, 신뢰할 수 있는 AI, 초거대 언어 모델 및 생성형 AI 분야에 우선적으로 지원되고 있다.
2단계 전략의 성과로 올해까지 매년 10만 명의 학생을 교육하고 200개의 논문을 작성하며, 글로벌 임베디드 AI 시장 점유율을 10~15% 확보하고, 400개 중소기업이 AI 솔루션을 도입하는 등 기술을 확산할 예정이다.
이러한 1·2단계 전략을 추진한 프랑스는 AI 국가 순위가 2023년 13위에서 지난해 5위로 대폭 상승했다. 한국은 6위를 유지했다.
지난 2월 프랑스 정부는 AI 주권 확보 및 생성형 AI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하는 3단계 전략을 발표했다. ▲컴퓨팅 인프라와 AI 벨류 체인의 중요한 연결 고리 강화 ▲AI, 인재 양성 및 유치 ▲AI 활용 가속화 ▲신뢰할 수 있는 AI 구축 수단 제공을 주요 목표로 설정했다.
보고서는 프랑스가 정치적 혼란 중에도 AI 육성 전략과 체계적인 정책을 추진한 과정을 참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2017년 마크롱 대통령 당선 후 여러 차례 총리가 변경되고 내각 구성에 변화를 겪었음에도, AI 전략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하며 일관되게 전략 및 정책을 추진한 결과라는 것이다.
이에, 한국도 국가적 추진 체계의 신뢰도와 기업·학계의 예측 가능성을 향상하기 위해 10년 이상 장기비전 바탕의 일관된 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해야 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