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조선산업은 과거 중화학 산업 발전의 핵심 타겟으로 수요산업과 전후방 연관 효과를 위해 국책으로 육성된 이래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제조업의 근간을 이루고 있으며, 최근까지도 국내 제조업을 이끌어오고 있다.
특히 상당수 제조분야가 수출 시장에서 부진을 이어가고 있는 상황에서도 조선산업은 여전히 K-조선의 우수성을 세계 시장에 알리고 있다. 이에, 국내 조선산업이 미국과의 협력을 통해 한 층 더 성장할 수 있다는 전망이 제시됐다.
산업연구원의 이은창 박사는 17일 은행회관에서 산업연구원과 한국경제학회, 한국산업조직학회의 공동 주최로 열린 ‘한미 양국 신정부 시대 신 주력제조업 : 방산, 원전, 조선’토론회에 발제자로 참석해 조선산업에서 한미 양국의 협력이 필요한 이유를 밝혔다.
현재 한국의 조선산업에 대해 이 박사는 “장기적인 불황에서 대규모 구조조정을 추진한 한국의 조선산업은 이제 수익성 개선에 돌입했다”며 “특히 미국이 중국의 조선해양산업에 대한 제재를 추진하면서 한국과 미국의 조선산업의 협력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한미 양국의 조선산업에서의 협력은 중국과의 경쟁에서 어려움을 겪는 국내 조선산업에 새로운 기회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국내 조선산업 생태계에서 양국간 협력을 위해 해결해야 할 문제가 존재하는 것이 현실이다.
“한국은 미국의 우방국 중 조선산업에서의 경쟁력이 가장 높다는 장점을 보유하고 있다”고 말한 이 박사는 “단, 양국간의 조선협력은 산업생태계의 재건과 관련돼 있어 국가내 다양한 부처와의 협력과 국가간 조직별 연계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한편, 그는 HD현대‧한화오션‧삼성중공업 등 국내 조선BIG 3와 함께 중대형 유조선이나 컨테이너선, 특수선 등의 건조가 가능한 조선업체를 미국과 협력이 가능한 조선사로 지목하기도 했다.
발표를 마무리하면서 이 박사는 기존의 조선 강국이었던 국가들이 경쟁력을 상실했던 이유를 제시하면서 “기술혁신이 가능하도록 대기업을 포함한 산업 생태계 구성과 조선산업 특성에 맞는 글로벌 시장 대응력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한 뒤 “궁극적으로는 ”조선산업을 안보산업으로 지정하고 조선산업을 중심으로 산업생태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이 이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