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경기도가 용인 반도체클러스터의 지구단위계획 변경을 확정하고, 김포 양촌2 일반산업단지 조성안을 승인했다. 첨단산업 육성과 균형발전을 동시에 겨냥한 결정으로, 반도체 공급망 안정화와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라는 두 축을 뚜렷하게 제시했다.
경기도는 18일 산업단지계획심의위원회에서 용인 반도체클러스터 변경안과 김포 양촌2 산단 조성안을 각각 의결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는 민선8기 핵심 가치인 첨단산업 육성을 구체화하는 조치로, 투자·일자리·지역상생의 선순환을 촉진할 전망이다.
용인 반도체클러스터는 원삼면 일대에 조성 중인 국가 핵심전략산업 단지다. 경기도는 국토부 산업입지정책심의회 결정에 따라 용적률을 350%에서 490%로 높이고, 건축물 높이 제한도 120m에서 150m로 완화했다. 생산시설 확장이 가능해져 클린룸 수요에 신속히 대응하고, 공정 효율성을 높여 매출 증대와 일자리 창출 효과가 기대된다.
김포 양촌2 일반산단은 골드밸리 내 21만㎡ 규모로 2028년 준공을 목표로 한다. 녹지율 19.8%를 확보하고 멸종위기종 금개구리 서식지를 조성해 산업과 생태의 균형을 추구한다. 중소공장을 집적화해 생산·물류 효율성을 높이고, 경기 서북부의 균형발전 거점으로 자리매김하는 동시에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산단계획심의위는 효율적 심의체계도 병행 구축했다. 경미한 사안은 조건부 의결로 신속히 처리하고, 변경심의는 핵심 변경 사항에 집중해 반복 절차를 줄였다. 또한 사전 컨설팅을 통해 쟁점을 선별·공유함으로써 심의 통과율을 높였다.
정두석 경기도 경제실장은 “산단계획심의는 단순한 승인 절차가 아니라 기업의 투자 타이밍을 보장하는 동시에 도민 안전과 환경을 지키는 장치”라며 “용인 반도체클러스터와 김포 양촌2 산단 처리는 적극행정의 성과로, 투자·일자리·지역상생의 선순환을 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