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리터당 2000원이 넘는 고유가로 자동차 업계에서는 차량유지비를 줄이기 위해 전기차·하이브리드차·수소연료전지차 같은 친환경 차량을 앞다퉈 기술개발에 나서고 있다. 현대차의 베르나 하이브리드를 시작으로 기아차에서는 지난해 말 국내 최초로 양산형 전기차 레이를 선보였으며, 아반떼, 쏘나타, K5, i30, i40 등 다양한 하이브리드 차량이 고유가를 걱정하는 소비자의 손길을 기다리고 있다.
차량 구입을 희망하는 운전자에게는 고연비 자동차가 해답이 될 수 있지만, 중고차사이트 카즈(http://www.carz.co.kr) 데이터리서치팀은 이미 차를 소유하고 있는 기존 운전자들이라면 기름 아끼는 운전법을 항상 숙지하여 고유가 시대에 대응하여야 한다고 한다. 카즈에 소개된 기름값 절약 팁을 살펴보았다.
출발은 천천히
기름값 절약은 출발할 때부터 시작된다. 자동차 출발시 처음 5초 동안은 시속 20km까지 천천히 가속해야 한다. 성격이 급한 한국인의 특성상 급출발을 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급출발을 10번하면 무려 100cc의 연료가 낭비된다.
공회전은 그만
대기 중이거나 짐을 싣고 내리기 위해 주정차 할 때는 공회전을 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5분간 공회전시 1km이상 주행할 연료가 낭비되기 때문이다. 신호대기나 엔진정지 직전에 고속 공회전을 하면 연료 낭비가 심할 뿐 아니라 차에도 무리가 간다. 고속 공회전을 10번하면 50cc정도의 연료가 소모된다.
한달에 한번 자동차 점검
주기적으로 건강검진을 하듯 자동차도 점검이 필요하다. 자동차 검진 시 체크할 부분은 타이어, 플러그, 에어클리너이다. 타이어는 공기압을 점검한다. 공기압이 부족한 상태에서 운전시 불필요한 기름이 소모되기 때문이다. 타이어의 적정공기압(30psi)을 유지하면 최고 10%정도의 연료를 줄일 수 있다.
에어클리너를 점검하고 엔진오일과 배출가스 관련 부품은 교환주기를 준수하는 것이 좋다. 에어클리너가 오염된 상태에서는 차량 1대 당 연간 90%의 이산화탄소가 더 배출된다. 플러그 점검으로도 10%의 연료를 절약할 수 있다.
그 외 카즈는 경제속도 준수, 내리막 길 가속페달 금지 등 기름값, 유지비를 절약하기 위한 방법 등을 소개하고 있다. 카즈가 소개한 방법 이외에도 무수히 많은 자동차 사용 팁이 존재하고 있다. 조금만 신경 쓰면 경제적이고 합리적으로 자동차를 사용할 수 있는 팁을 활용하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