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지난해 4/4분기 노동생산성, 하락세서 전환
김범홍 기자|kbh7289@daara.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지난해 4/4분기 노동생산성, 하락세서 전환

전년 동기 대비 1.7% 증가…제조업 3.3%, 서비스업 2.2% 증가

기사입력 2013-04-24 00:05:07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지난해 4/4분기 노동생산성, 하락세서 전환
全산업 노동생산성 증가율 추이 (전년동기대비, %)

[산업일보]
지난해 4분기 노동생산성 지수가 전년 동기 대비 1.7% 증가하여 3분기 연속 하락세에서 전환했다.

이는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생산성본부의 발표 자료에 따른 것으로 글로벌 경기회복의 지연과 내수경기 위축으로 산업 생산은 전년 동기 대비 0.1% 증가하고, 노동투입량은 근로시간 단축으로 1.6% 감소하여 생산성이 소폭 향상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전년 동기 대비 제조업은 3.3%, 서비스업은 2.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2년 노동 생산성 지수는 99.6(2010=100)을 기록해 전년대비 1.1% 감소하여 2010년 이후 하락세를 지속하고 있다.

전 산업 산출량은 수출과 내수의 부진으로 성장속도가 약화되면서 전년대비 0.8% 증가하고, 서비스업이 생산증가를 주도하고 있다.

산업별 산출량 증가율을 살펴보면 전년 대비 제조업 0.8%, 서비스업 1.6%, 건설업 -5.8%로 나타났다.

전 산업의 근로자수와 근로시간은 전년대비 각각 2.1%, -0.1%로, 근로자수의 확대가 노동투입량 증가(2.0%)로 이어졌으며, 서비스업과 건설업의 노동투입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산업별 노동투입 증가율은 전년 동기 대비 제조업 -1.2%, 서비스업 2.1%, 건설업 11.9%로 집계됐다. 산업별 전년대비 생산성 증가율은 제조업 2%, 서비스업 -0.5%, 건설업 -15.8%로, 건설업의 생산성이 크게 하락했다.

지난해 우리나라 경제는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생산과 고용의 선순환을 통한 생산성 향상에 어려움이 있었으나, 올해에는 세계 경제의 완만한 회복이 생산성 증가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