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한 흐름에 맞춰, 한국베어링산업협회는 12일 구로구 더링크 서울 호텔에서 영주시·영주시민추진위원회와 함께 ‘AI기반 스마트제조·미래를 이끄는 베어링’이라는 주제로 ‘제4회 한국베어링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연사로 나선 전문가들은 제조 현장의 성공적인 AI 도입의 열쇠로 명확한 목표 설정과 전략적 접근을 꼽았다.
“AI를 현장에서 스스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실행 주체로 전환하지 못하면, 제조 AX 성공은 어려울 수밖에 없다”
AI 자율제조 전문기업 인터엑스(INTERX) 박정윤 대표는 AI 자율제조를 주제로 발표를 진행하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제조업의 본질은 끊임없는 혁신을 통해 잘 팔리는 제품과 서비스를 빠르게 생산해 공급하는 것”이라며, “최근 공급망 재편·인력 부족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며 기존 제조 경쟁력 핵심 요소가 변화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이러한 문제를 AI로 극복하는 것이 AX 즉 AI 자율제조라는 것이다.
박 대표는 “단순한 AI 접목이 아니라, AI가 제품의 기획·설계부터 생산계획 수립, 검사까지 스스로 해결하는 것이 AX”라며 “자동화·정보화를 활용하던 제조 시스템은 이제 지능화·자율화가 핵심이며, AX 전문 인력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박정윤 대표는 AI 자율제조 실현을 위한 핵심 키워드로 ‘시맨틱(Semantic)’과 ‘온톨로지(Ontology)’를 제시했다.
시멘틱은 AI가 데이터의 의미를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법이다. 제조업과 제조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단어·수식·문자·소리·이미지 등의 의미나 역할을 정의하는 것이다.
온톨로지는 제조 업무와 데이터의 개념과 관계를 설명하는 지식 관계 모델이다. 예를 들어 품질 검사를 위해서는 품질 기준과 측정 방법 등이 필요하고, 각 요소가 상호 연관돼 품질 관리가 이뤄진다. 이러한 연관 관계를 체계화해 데이터를 관리하는 것이 온톨로지라는 설명이다.
박 대표는 “이 두 가지 기반 없이는 아무리 데이터를 쌓아도, AI가 스스로 이해하고 활용하기 어렵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각 기업이 전문화된 AI 에이전트를 얼마나 보유하느냐가 기업 경쟁력에 큰 영향이 미칠 것”이라고 내다보기도 했다.
한편, 베어링 제조기업 터보링크의 설재훈 프로는 AMR을 통한 공정 간 물류 자동화 도입 실제 사례를 제시했다.
설 프로는 “자사는 7년간 5번에 걸쳐 스마트공장을 단계별로 구축해 왔다”라며 “최근 AMR 물류 운송을 공장 전반에 구축했다”라고 소개했다.
터보링크의 생산 현장에 적용된 AMR은 MES(제조 실행 시스템)와 연동돼, 제조 소요 시간에 맞춰 기존 공정에서 완성된 제품을 다음 공정으로 자동으로 이송한다. 이송 간 병목 현상이 발생하면 임시 보관 장소에 배치한다. 공장 건물 사이는 센서를 통해 스스로 문을 개폐해 제품을 이동시킨다.
현장 요구사항에 맞춰 커스텀된 제품을 도입했으며, 충전으로 인한 작업 공백 방지를 위해 배터리 자동 교환 시스템을 채택했다. 지게차와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용 팔레트를 자체 개발하기도 했다.
설재훈 프로는 “AMR 도입을 통해 작업자가 물류를 기다리거나 이동시키면서 발생하던 대기시간을 단축해 생산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었고, 공장 안에서 제품을 이송하던 지게차를 대체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됐다”라며 “직원 4명이 월 264시간 소요했던 물류 이동 시간도 4분의 1로 줄일 수 있었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