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 산업현장에서는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AI 기반 안전관리 도입이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안전 투자는 이제 생산 차질을 줄이는 핵심 전략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2023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통계에 따르면, 제조업 중대재해의 절반 이상이 보호구 미착용, 협착·끼임, 추락 등 인적 요인으로 발생했습니다. 반복되는 사고 유형으로 인해, 현장에서는 위험요소를 실시간 감지하고 통제할 수 있는 시스템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AI 안전관리 솔루션은 카메라와 센서를 통해 수집한 영상을 분석해, 안전모 미착용이나 포크리프트 접근, 위험구역 진입 등의 상황을 자동으로 인식하고 경보합니다. 일부 현장에서는 설비 제어 시스템과 연동해 자동 정지 기능까지 적용되고 있습니다.
안전관리는 단순한 규제 대응을 넘어, 생산성과 설비 가동률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사고를 줄이면 숙련 인력을 보호하고 작업 중단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중소·중견 제조업체는 여전히 도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AI 모델 학습, 관제 인력 확보, 구축 비용 등이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스마트공장 고도화와 지자체의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이를 보완하고 있습니다.
최근 MEMS기술연구조합과 한국센서산업협회, 한국센서학회 등 산·학·연 전문가들은 산업 안전 감시용 통합 지능형 센서 모듈 개발 연구에 착수했습니다.
업계에서는 “산업 현장 재해 모니터링을 위해 다양한 센서 융합과 AI 기술 접목이 필수적”이라며, 향후 공공 인프라 모니터링 분야까지 기술 확장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