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베트남, 전체 수입에서 기계수입 비중 '전 산업 1위'
안영건 기자|ayk2876@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베트남, 전체 수입에서 기계수입 비중 '전 산업 1위'

한국기계연구원, 동남아시아 기계산업 베트남 동향분석

기사입력 2013-05-20 00:02:55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베트남, 전체 수입에서 기계수입 비중 '전 산업 1위'



[산업일보]
베트남 기계산업은 부품·소재 산업과 같은 기반 산업이 열악하며, 선진국으로부터의 기술이전을 통한 성장 정책을 구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2년 기준 베트남의 전체 수입에서 기계 수입이 차지하는 비중은 14%로 전산업 1위이며, 대부분의 부품은 5개국으로부터 조달받고 있다.

한국기계연구원은 '동남아시아 기계산업 동향분석(베트남편)'이라는 연구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힌 뒤 베트남 기계산업 부문에서의 기술이전 성공 사례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나 기술이전 규모는 아직 미약한 수준으로 평가했다.

한국기계연구원에 따르면 베트남 기계공학연구소는 현지 부품 조달 비율이 현재보다 50% 상승할 경우, 2025년까지 매년 70억 달러 규모의 일자리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베트남은 선진국으로부터의 기술이전을 통한 현지부품 조달 비율 상승 및 기술 경쟁력 강화를 추진 중이라는 것.

베트남 제조업에서 기계산업의 비중은 2.3%로 기계 및 장비 생산액은 약 17억 달러, 기계 설치 및 수리업 매출은 13억 달러로 추정된다.

2010년 기준 베트남 기계산업 생산액은 약 17억 달러(1.9조 원)로, 우리나라 생산의 약 2.1% 수준이며, 수리업을 합칠 경우 약 30억 달러 규모다.

절대 생산 규모는 작으나, 외자 기업을 중심으로 2005년 이후 연평균 18.5%의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최근 베트남 기계산업 생산 증가는 선진국으로부터의 기술이전이나 OEM 가공 생산이 확대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로 인해 베트남 현지 부품 조달 비율은 낮은 편이며, 외국 전문가(Supervisor) 초빙을 통한 생산 관리, 기술 습득이 활발히 추진 중인 것으로 보인다.

기계 설치 및 수리를 분야 생산액은 12.4억 달러로 기계산업 생산액의 70% 수준이며, 역시 가파른 성장을 달성했다.

베트남은 WTO에 가입한 2007년부터 건설 중장비 임대업을 개방했으며, 이에 따라 기계 설치 및 수리업이 2006년 이후 빠른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기계설비류는 자동차, 오토바이와 함께 베트남의 중고품 수입 3대 품목으로 꼽히며 베트남에 수출되는 건설기계의 90%가 중고기계일 정도로 베트남 기계산업은 중고 기계 수리를 통한 재사용이 매우 활발한 시장이라는 평가다.

설비와 인프라 투자는 급속히 진행됐으나, 아직까지는 신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여력이 부족한 데 따른 것으로 기인한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산업분야 최고의 전문기자를 꿈꾸고 있습니다. 꾼이 꾼을 알아보듯이 서로 인정하고 인정받는 프로가 될 것임을 약속드립니다. ‘The pen is mightier than the sword’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