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재사용부품, 착한 가격에 보증까지…
활성화 시범사업 실시···거래시스템 구축·AS도 가능
자동차 재사용부품에 대한 거래시스템이 구축되고 인증·보증을 통한 AS도 가능해질 전망이다.
환경부는 21일 자동차 폐차업체, 정비업체와 협력해 거래시스템을 구축하고 인증, 보증을 통해 소비자들이 자동차 재사용부품을 믿고 쓸 수 있도록 자동차 재사용부품 활성화 시범사업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그동안 소비자들은 자동차 재사용부품에 대한 불안감과 낮은 인식 때문에 재사용부품을 꺼리고 있고, 관련업체들은 많은 부품들을 쌓아두고도 판매처를 찾지 못해 곤란을 겪어왔다.
특히, 많은 업체들이 재사용부품을 공급하고 싶지만 수요처를 찾지 못해 인건비, 부품 보관비 등이 고스란히 이들 업체의 부담으로 돌아가 중소업체들의 영업난을 가중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이번에 실시하는 자동차 재사용부품 활성화 시범사업은 이러한 문제들을 해소하고 재사용부품 시장활성화를 위한 것으로, 부품 공급처인 폐차장과 수요처인 정비소 간 네트워크를 구성해 거래망을 구축하고 재사용부품에 대한 보증을 제공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를 위해 환경부는 참여업체 인증을 비롯해 인증·보증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방안을 마련하고 불성실한 업체는 인증을 취소하는 등 사후관리도 병행할 예정이다.
소비자들은 구입한 재사용부품에 문제가 발생하면 구입처가 아니더라도 시범사업에 참여한 가까운 업체에서 AS를 받을 수 있으며 대체부품이 없어 교환이 어려운 경우 환불도 보장된다.
환경부는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자동차 재사용부품 시장이 활성화되면 새 부품을 제작하는 데 필요한 막대한 자원과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재사용부품을 사용하면 부품 1개당 평균 48Kg의 이산화탄소를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온실가스 감축에도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와 관련, 환경부는 21일 서울 플라자호텔에서 환경부-폐차업계-정비업계 간 자발적 협약을 체결해 수도권을 중심으로 안전과 무관한 보닛이나 범퍼 같은 14개 외장부품을 대상, 시범사업을 실시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향후 시범사업 결과를 토대로 향후 대상품목을 늘려 전국단위로 시범사업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정연만 환경부 차관은 “재사용은 자원순환 정책에서 우선적으로 고려돼야 한다”며 “시범사업이 단계별로 확대되어 재사용부품 시장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관련업계와 긴밀히 협력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