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산업통상자원부는 8월 자동차 산업 실적을 잠정 집계한 결과 지난 해 부분파업으로 인한 기저효과 등으로 생산(342,624대), 수출(230,480대), 내수(111,067대)가 각각 44.3%, 38.9%, 29.4%가 증가했다고 밝혔다.
생산은 일부 업체의 부분파업 및 주말 특근 미실시로 공급차질이 발생됐으나, 지난 해 임단협 과정에서 발생한 장기파업의 기저효과로 인해 큰 폭의 증가세를 기록했다.
내수는 소비심리의 회복세를 바탕으로 국산차 인기차종의 부분변경 모델과 신차가 꾸준히 판매 증가를 보였으며, 수입차의 지속적인 강세 등으로 증가세가 이어졌다.
수출은 글로벌 불확실성 확대 및 해외 생산 증가 등의 감소요인에도 불구하고, 기저효과로 인해 증가세를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