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TRENDS] 10월 국내외 공작기계 수요 둔화 불구, 수출 증가
조명의 기자|cho.me@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TRENDS] 10월 국내외 공작기계 수요 둔화 불구, 수출 증가

월 수주 2,711억 원 기록하며 전월 대비 소폭 증가

기사입력 2013-12-28 00:01:00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산업일보]
2013년 10월 공작기계 시장은 국내외 수요 둔화로 인해 월 수주가 4개월 연속 3,000억 이하를 기록한 가운데 지난해 하반기 부진한 실적에 대한 기저효과로 전년 동월 대비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 자료에 따르면 10월 공작기계 내수수주는 전월 대비 13.3% 감소한 반면 수출수주는 18.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TRENDS] 10월 국내외 공작기계 수요 둔화 불구, 수출 증가


수주

2013년 10월 공작기계 수주는 2,711억 원으로 전월 대비 0.3% 증가(전년 동월 대비 11.4%)했으며, 전년 동월 대비로도 지난해 하반기 부진한 실적에 대한 기저효과로 4개월 연속 증가세를 기록했다.

내수수주는 1,345억 원으로 전월 대비 13.3% 감소(전년 동월 대비 1.7%)했으나 전년 동월 대비로는 3개월 연속 증가했다. 수출수주는 1,366억 원으로 전월 대비 18.7% 증가(전년 동월 대비 22.9%)했으며, 전년 동월 대비로도 2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됐다.

올해 1~10월 공작기계 총 수주는 3조1,643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0% 증가했는데 이는 일부 프로젝트성 수주와 지난해 부진했던 실적에 대한 기저효과에 따른 것이다. 일부 기업들의 프로젝트 및 대형프레스 수주를 합치면 5,287억 원으로 이 영향을 제외하면 전년 동기 대비 2.1% 감소했다. 내수수주는 1조4,783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2% 감소했으나, 수출수주는 1조6,860억 원으로 12.2% 증가했다.

통계청이 발표한 올해 9월 설비투자는 전월 대비 4.1% 감소했으며, 전년 동월 대비로도 9.1% 감소하며 2개월 만에 감소세로 전환됐다. 이는 일반기계류, 전기/전자기기 등에서 전년 동월과 비교해 감소했기 때문이다. 국내 기계수주도 전기업, 운수통신업 등에서 수주가 줄어 전년 동월 대비 7.6% 감소했다.

전경련이 발표한 600대 기업의 올해 11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는 94.7로 2개월 만에 기준치 100 이하로 떨어졌다. 이는 최근 수출 증가세 지속, 민간소비 개선, 설비투자 증가세 전환 등 경기 개선 조짐에도 불구하고 환율하락에 따른 향후 수출부담, 가계부채 증가세에 따른 소비부진 우려, 미국 연방정부의 일시폐쇄 여파 등이 반영된 결과다.

품목별 수주를 보면 NC절삭기계(2,086억 원, 전월 대비 -11.1%)는 전월 대비 감소했지만, 범용절삭기계(192억 원, 113.8%) 및 성형기계(433억 원, 63.4%)는 증가했다.

NC절삭기계에서는 NC선반(884억 원, 전월 대비 9.0%)이 전월 대비 증가했으나, 머시닝센터(1,036억 원, -6.5%)는 감소했다. NC선반은 6개월 연속 월 수주가 1,000억 원 이하를 나타냈으나, 머시닝 센터는 9개월 연속 1,000억 원 이상을 유지했다. 보링기(NC 포함, 53억 원, 전월 대비 -0.2%)는 전월 대비 감소했으나, 연삭기(NC 포함, 65억 원, 0.9%), 밀링기(NC 포함, 46억 원, 17.6%), 범용선반(21억 원, 48.6%)은 모두 증가했다.

한편, 프레스(429억 원, 전월 대비 66.5%)는 수출수주(286억 원, 144.2%)가 전월 대비 큰 폭의 증가를 보이며 2개월 만에 300억 원 이상을 나타냈다.

업종별 수주에서는 자동차 업종의 월수주가 363억 원으로 전월 대비 40.8% 감소(전년 동월 대비 -38.7%)했으나, 일반기계 업종은 273억 원으로 전월 대비 8.7% 증가했다. 전기/전자/IT(192억 원, 61.6%), 철강/비철금속(133억 원, 1.9%), 금속제품(139억 원, 8.8%), 정밀기계(38억 원, 15.3%)는 전월 대비 증가했지만, 조선/항공(68억 원, -25.8%)은 감소했다.



생산출하

2013년 10월 공작기계 생산은 2,687억 원으로 전월 대비 6.1% 감소(전년 동월 대비 -2.5%)했으며, 출하도 2,756억 원으로 전월 대비 1.6% 감소(전년 동월 대비 -12.3%)했다.
생산은 15개월 연속 3,000억 원 이하를 나타내며 13개월 연속 전년 동월 대비 감소를 지속중이며, 출하도 10개월 연속 전년 동월 대비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품목별 생산에서는 NC절삭기계(2,311억 원, 전월 대비 -8.5%)가 전월 대비 감소했으나, 범용절삭기계(118억 원, 33.0%) 및 성형기계(258억 원, 3.2%)는 증가했다. NC선반(1,009억 원, 전월 대비 -6.9%) 및 머시닝센터(838억 원, -9.6%)가 전월 대비 감소했으나, 프레스(258억 원, 3.8%)는 증가했다.

한편, 1~10월 공작기계 생산은 2조6,18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8% 감소했으며, 출하도 2조8,474억 원으로 13.6% 감소했다. 품목별로는 NC절삭기계(2조2,482억 원 -12.9%), 범용절삭기계(948억 원, -14.2%), 성형기계(2,751억 원, -11.8%) 생산은 모두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다.

수출

2013년 10월 공작기계 수출은 1억7,300만 달러로 전월 대비 7.4% 증가(전년 동월 대비 -24.9%)했으나, 전년 동월 대비로는 2개월 연속 감소를 지속했다. 월 수출은 4개월 연속 2억 달러 이하의 약세를 보였다.

품목별 수출에서는 NC절삭기계(1억1,700백만 달러, 전월 대비 5.7%), 범용절삭기계(1,060만 달러, 34.6%), 성형기계(4,580만 달러 , 6.6%) 모두 전월 대비 증가했다.

NC절삭기계에서는 NC선반(5,150만 달러, 전월 대비 -5.9%)이 전월 대비 감소했으나, 8개월 연속 5,000만 달러 이상을 유지했고, 머시닝센터(4,230만 달러, -11.9%)는 전월 대비 감소하며 2개월 연속 5,000만 달러 이하를 나타냈다.

한편, 성형기계에서는 프레스(3,760만 달러, 전월 대비 135.9%) 및 전단기/펀칭기/낫칭기(820만 달러, 165.2%)가 전월 대비 감소했으나, 단조기(1,020만 달러, 452.2%) 및 절곡기(520만 달러, 5.2%)는 증가했다.

보링기(NC 포함, 290만 달러, 전월 대비 513.4%) 및 연삭기(NC 포함, 260만 달러, 10.3%)는 전월 대비 증가했지만, 밀링기(NC 포함, 210만 달러, -43.4%) 및 범용선반(100만 달러, -60.4%)은 감소했다.

한편, 성형기계에서는 프레스(2,940만 달러, 전월 대비 48.1%) 및 절곡기(810만 달러, 55.3%)가 전월 대비 증가했지만, 전단기/펀칭기/낫칭기(460만 달러, -6.1%), 단조기(2,090만 달러, -79.6%)는 감소했다.

지역별 수출에서는 아시아(7,760만 달러, 전월 대비 9.5%) 및 북미(3,070만 달러, 1.3%) 지역이 전월 대비 증가했으나, 유럽(5,210만 달러, -2.9%)은 감소했다.

아시아에서는 중국(4,120만 달러, 전월 대비 -38.4%)이 전월 대비 감소하며 2개월 만에 50백만 달러 이하를 나타냈으나, 인도(920만 달러, 84.2%) 및 베트남(520만 달러, 3.5%)은 증가했다. 유럽에서는 독일(1,300만 달러, 전월 대비 -5.6%)과 이탈리아(560만 달러, -5.0%)가 전월 대비 감소했으나, 터키(540만 달러, 22.1%)는 증가했다. 미국(2,960만 달러, 전월 대비 -1.0%)은 3개월 연속 전월 대비 감소를 보이며 다소 약화됐다.

아시아에서는 중국(3,720만 달러, 전월 대비 -9.6%)이 전월 대비 감소하며 2개월 연속 50백만 달러 이하를 나타냈으나, 태국(1,040만 달러, 231.1%) 및 인도네시아(840만 달러, 94.5%)는 증가했다. 유럽에서는 독일(1,300만 달러, 전월 대비 -0.2%)과 터키(300만 달러, -43.9%)가 전월 대비 감소했으나, 이탈리아(830만 달러, 48.2%) 및 영국(360만 달러, 11.9%)은 증가했다. 미국(3,030만 달러, 전월 대비 2.4%)은 4개월 연속 4,000만 달러 이하의 실적을 나타내며 다소 둔화됐다.

올해 1~10월 공작기계 수출은 18억5,2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3.1% 감소했으며, 지역별로는 아시아, 북미, 중남미 지역이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으나, 유럽 지역은 8월 이후 증가세로 전환됐다.

수입

2013년 10월 공작기계 수입은 1억1,400만 달러로 전월 대비 1.9% 증가(전년 동월 대비 -7.5%)했으나, 전년 동월 대비로는 3개월 만에 감소로 전환됐다.

품목별 수입에서는 NC절삭기계(7,040만 달러, 전월 대비 -6.0%)가 전월 대비 감소했으나, 범용절삭기계(1,750만 달러, 10.8%) 및 성형기계(2,640만 달러, 23.1%)는 증가했다.

NC절삭기계에서는 NC선반(650만 달러, 전월 대비 -28.8%)이 전월 대비 감소했으며, 머시닝센터(2,080만 달러, -13.4%)도 전월 대비 감소했다. 보링기(NC 포함, 450만 달러, 전월대비 428.1%) 및 범용선반(160만 달러, 20.0%)은 전월 대비 증가했으나, 연삭기(NC 포함, 900만 달러, -53.0%) 및 밀링기(NC 포함, 260만 달러, -48.8%)는 감소했다.

성형기계에서는 프레스(1,150만 달러, 전월 대비 87.0%), 전단기/펀칭기/낫칭기(340만 달러, 73.9%), 절곡기(630만 달러, 75.4%)가 전월 대비 증가했으나, 단조기(210만 달러, -37.7%)는 감소했다.

지역별 수입에서는 아시아(6,880만 달러, 전월 대비 5.0%)가 전월 대비 증가했지만, 유럽(4,120만 달러, -3.6%) 및 북미(360만 달러, -4.5%) 지역은 감소했다.

아시아에서는 일본(5,220만 달러, 전월 대비 16.9%)과 대만(920만 달러, 28.6%)이 전월 대비 증가했으나, 중국(340만 달러, -56.2%)은 감소했다. 유럽으로부터 수입은 독일(2,750만 달러, 전월 대비 -5.2%)은 전월 대비 소폭 감소했으나 2개월 연속 2,000만 달러 이상을 기록했으며, 스위스(750만 달러, -3.0%)는 감소했다.

올해 1~10월 공작기계 수입은 11억9,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7.1% 감소했으며, 아시아는 감소한 반면 유럽 및 북미 지역은 증가세를 유지했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