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연구개발특구, 중소·중견기업 R&D 전진기지 '최적지'
박지우 기자|churro@daara.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연구개발특구, 중소·중견기업 R&D 전진기지 '최적지'

미래부, 연구개발특구육성사업(R&D) 시행계획 심의·확정

기사입력 2014-03-04 19:55:33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연구개발특구, 중소·중견기업 R&D 전진기지 '최적지'

[산업일보]
[산업일보]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 이하 미래부)는 최근 연구개발특구(이하 특구)육성사업 추진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올해 특구육성사업 시행계획(안)을 확정했다고 4일 밝혔다.

미래부에 따르면 2005년 대덕특구 출범 이후 특구육성사업을 통해 공공연구기관(출연연‧대학)의 R&D 성과를 기술이전·사업화하고, 연구소기업 설립 및 테크비즈센터라는 특구 제도 및 인프라를 통해 산·학·연 협력을 도모해 왔고, 2011년에 광주와 대구가, 2012년에는 부산특구가 추가로 지정됐다.

올해는 ▲연구소기업 육성, ▲특구별 특화 추진, ▲창업생태계 조성, ▲네트워크 활성화 추진을 통해 중소·중견기업의 R&D 전진기지이자 창조경제 구현의 최적지로 특구를 육성하는 사업을 추진한다.

우선, 공공 R&D성과를 특구 내에 직접 사업화하는 연구소기업의 설립 및 육성에 주안점을 두고 코디네이터 활동을 강화해 민간의 사업역량과 공공의 연구역량이 결합된 합작투자형 설립을 촉진하며, 사업화 과정에서, 특구별 특화분야 비교우위와 특구별 산·학·연 특성을 반영한 차별화로 일자리 창출 및 지역산업 활성화에 적극 나선다. 특히, 대덕특구는 창조경제 선도 역할도 함께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연구개발특구, 중소·중견기업 R&D 전진기지 '최적지'
특허박람회 프로세스


아울러, 특구의 인프라(창업공작소, TBC 등 창업지원형 공간)를 적극 활용하고 예비창업부터 기업 성장까지 단절 없는 전주기적 지원 체계(이노폴리스캠퍼스 육성, 기술금융 연계 등) 마련을 통해 창업생태계를 조성하고, 지난해 대덕특구에서 열린 특허박람회를 대덕을 포함해 광주, 대구, 부산특구로 확대하는 등 산․학․연 교류․협력을 촉진할 예정이다.

기존 14개 과제로 복잡했던 사업구조를 4개 사업군 5개 세부사업으로 유사기능을 통합 운영해, 사업간 연계를 강화하고 성과창출형으로 개선, 사업 지원의 효율성 및 효과성을 제고했다.

특구육성사업 내역을 보면 특구유망기술을 발굴해 기술이전 또는 연구소기업 설립을 지원하고, 기업의 기술사업화 수요 중 사업성 우수 과제를 지원하는 연구성과 사업화에 584억 원을 배정했고, 이중 유망기술 발굴‧이전에 10% 이내인 55억 원을, 사업화 지원에 기업 컨소시엄별로 협약기간 내 최대 10억 원, 총 529억 원을 지원한다.

다음으로, 특구내 기업가정신 고취와 창업아이템 검증 등 사업화 前 단계와 기술사업화기업의 경영, 자금 등의 애로해결을 통해 기업성장에 필요한 후속 연계지원을 하는 벤처생태계 조성에 102억 원이 사용된다.

이노폴리스캠퍼스 및 엑셀러레이팅을 통한 창업 지원에 31억 원을, 창조경제타운 아이디어의 제품화 지원 등 기업육성에 51억 원을, 기술찾기, IP, 기업성장 등 주제포럼 강화에 20억 원을 지원한다.

미래부와 특구진흥재단은 28일 확정된 시행계획을 바탕으로 3월 중에 특구별로 세부시행계획을 수립하고 공고할 예정이며 이르면 이달 광주특구 특허박람회 개최를 시작으로, 6월 대구특구, 9월 부산특구, 10월 대덕특구에서 특허박람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