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중견기업 R&D 역량 강화위해 기술인재 지원
214개 기업에 맞춤형 기술애로 지원과 함께 780개 기업에 850여명의 연구인력 채용 및 파견 지원을 주요 골자로 한 정부 사업이 진행된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윤상직)는 11일 연구인력 부족으로 기술경쟁력 제고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중견기업의 R&D역량 강화 및 기술경쟁력 제고 지원을 위한 기술인재 공급 및 활용 지원사업 시행계획을 공고했다.
산업부에 따르면 우선 기술혁신형 중소·중견기업 인력지원 사업의 경우 지원기업의 특성과 수요에 따라 인력 ‘파견지원’과 ‘채용지원’으로 나눠 시행되며, 지원기간은 3년으로 동일한다.
파견지원은 공공연구기관의 경력연구원을 파견해 기술지도 및 연구과제를 수행하도록 하고 인건비 일부가 지원되고 채용지원은 기업부설연구소 또는 연구전담부서를 갖추고 있는 중소·중견기업이 석·박사 연구인력을 채용하는 경우 역시 인건비 일부를 지원한다.
특히 올해는 그동안 신규 석·박사 채용에 국한됐던 지원범위를 확대해 기업이 채용 즉시 활용 가능한 대기업·연구소 등의 경력직 채용시에도 지원하고, 중소·중견기업 신입인력의 연구역량 제고를 위해 공공연구기관의 R&D 인프라(전문인력, 장비 등)를 활용한 실무교육 및 공동연구 프로그램을 운영(시범)함으로써, 신규인력 확보 뿐 아니라 재직인력 역량강화 및 고급경력인력 수혈 등을 통해 중소·중견기업의 R&D 자생력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생산현장 종합지원사업은 중소·중견기업의 생산현장에서 발생하는 기술적 애로에 대해 기술코디네이터의 무상 진단·처방 및 필요시 단기 R&D 과제 소요비용을 지원하는 것으로 공공연구기관 및 공대교수들로 구성된 기술코디네이터 50명이 기업이 신청한 기술애로에 대해 진단하고 최적의 해결방안을 제시하게 된다.
생산현장의 기술애로 해소를 위해 R&D 과제화해 연구가 필요한 경우 4천만 원 이내 연구비가 지원된다.
한편 올해는 전국 25개 공과대학 교수 30명이 재능기부 형태로 중소·중견기업의 기술애로 해소 지원을 위해 기술코디네이터로 참여해, 지방소재 대학교수 및 대학 보유 인프라(네트워크, 장비 등) 활용 등을 통해 지방기업에 대한 기술지원 확대가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