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문(名門) 장수기업'을 '일자리 창출' 주역으로
중소·중견기업 중심의 ‘명문 장수기업 정책포럼’이 발족했다. 이 포럼은 6월까지 명문 장수기업 육성 방안을 수립하게 된다.
중기청에 따르면 중소·중견기업 1·2세대 대표, 경영·조세·기술·금융 전문가 등 다양한 경영전문가로 구성된 명문 장수기업 정책포럼(공동위원장, 한국OSG(주) 정태일 회장, 서울대 이동기 교수)이 8일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첫 번째 전체회의를 개최하고, ‘명문 장수기업’을 ‘일자리 창출’ 주역으로 육성키로 했다.
포럼은 중소기업중앙회(회장 김기문)와 한국중견기업연합회(회장 강호갑)이 공동으로 운영하며, 산하에 정책개발 기능을 담당하는 4개 TFT(정책기획팀, 제도정비팀, 기업지원팀, 인프라구축팀)를 구성했다.
중소·중견기업 CEO의 급격한 고령화 등에 대응해 가업승계 지원 확대를 포함한 종합적 ‘장수기업 육성 대책’의 정책방향을 제시하고, 세부적인 실행방안을 도출하게 된다.
장수기업의 중장기 전략경영에 적합한 경영체제를 연하는 것은 물론 관련 가업승계 모델과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 ‘名門 장수기업’ 인증제도 및 혁신역량별 맞춤형 지원방안 마련과 기업의 혁신역량을 제고하기 위한 ‘장수기업 명문가 프로젝트’를 중점 연구할 것으로 알려졌다.
중소기업청 김순철 차장은 축사를 통해 “명문 장수기업은 세대를 이어 존속하며 일자리 창출·유지, 기술의 계승·발전 등을 통해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우량기업을 의미하는데, 우리는 근대 산업 역사가 짧아 100년 이상 장수기업이 6개에 불과하다”며 “청년실업 해소 및 안정적 일자리 창출을 위해 사전증여 활성화 등 제도개선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