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기업 생존율 지속적 감소
숙박?음식점 자영업자 10곳 중 8곳 5년 내 폐업
베이비부머 세대 은퇴 등으로 자영업 창업은 늘어나고 있지만 실제 생존율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부좌현 의원(안산 단원을)이 중소기업청으로부터 제출받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생계형 창업의 증가로 자영업자들의 창업 5년 후 생존율이 숙박․음식접은 17.7%, 도․소매업은 26.7%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됐다.
대표적인 생계업 창업인 숙박·음식점업의 경우, 창업 1년 후 절반이 조금 넘는 55.3%가 생존하고, 3년이 지나면 그 비율은 28.9%로 줄고, 5년이 지나면 17.7%로 10명 중 채 2명도 생존하지 못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도소매업의 경우, 창업 1년 후 56.7%, 3년후 35.8%, 5년후 26.7%로 10명 중 채 3명도 생존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신생기업의 평균 생존율도 매년 줄어들고 있다.
창업 1년 후 생존율은 2006년 64%에서 매년 감소하다 2010년 60%로, 2년 후 생존율은 2006년 49.1%에서 2009년 46.9%로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우리나라 자영업자 비중은 다소 감소하고 있으나 베이비 붐 세대 은퇴 등으로 과잉진입 상황이 계속 발생하고 있으며, OECD 평균 대비 1.8배인 28.2%에 달하는 수치다.
부좌현 의원은 “현재 우리나라 자영업자들이 매우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다”며, “자영업자들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범정부 차원의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