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미국과 대등한 파워를 지니고 급성장하며 세계경제를 견인하고 있는 중국의 실물경제가 4단 감속 브레이크에 걸렸다는 진단이 나왔다. 신창타이 시대로 접어든 중국의 변화에 따른 한국 기업의 인식전환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2010년과 비교해 내년 수입증가율은 22.1%에서 14.9%로 7.2%p 감소하고, 소비증가율은 9.4%에서 7.7%, 투자는 15.3%에서 4.7%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8월 국제통화기금(IMF) 역시 “중국에 브레이크가 걸렸다”며 문제의 심각성을 언급했다. 중국은 ‘수입’, ‘소비’, ‘투자’, ‘금융’에서 적신호가 깜빡이고 있는 만큼, 한국 기업의 정확한 상황 판단과 대책마련이 요청되고 있다.
‘수입’브레이크, 차이나 인사이드 현상 두드러져
첫 번째로 지적된 브레이크는 ‘수입증가 속도의 감소’다. 그중에서도 한국 기업들에게 가장 큰 타격을 줄 것으로 예상되는 현상은 ‘차이나 인사이드(China Inside)’. 중국은 최근 소재·부품산업을 육성해 중간재를 국산화하고 있어, 중간재가 대중국 수출의 73%를 차지하는 한국기업에게 큰 위협이 되고 있다.
실제 2000년 64.4%에 이르던 중국의 중간재 수입비중은 2010년에는 52.1%, 지난해에는 49.8%까지 떨어져 15년간 14.6%p의 수입대체가 일어났다.
한국과학기술평가원은 “한중 간 기술격차가 2012년 1.9년에서 지난해 1.4년으로 바짝 좁혀졌다”고 지적했다. 한국은 이제 중간재 위주의 수출구조를 벗어나, 소비재 자본재 등 최종재 수출 비중을 높이고, 적극적으로 신흥시장 발굴에 나서야할 것으로 보인다.
‘소비’브레이크, ‘혁신제품’으로 승부하라
중국은 최저임금 인상, 도시화 급진전 등으로 중산층을 키워 소비중심 성장을 시도하고 있지만, 주요 소비재 성장률이 절반이상 감소하는 등 ‘소비증가율 감소’ 현상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지난 4년 간 자동차 판매증가율은 32.4%에서 6.8%로 무려 25.6%나 감소했고, 가전은 18%에서 3%로 15%p, 의류는 24.8%에서 11.6%로 13.2%p 감소했다.
그만큼 중국 소비자들의 꽁꽁 얼어붙은 지갑을 열게 만들 한국기업의 시장 분석력과 창의성이 요구되고 있다. 송의영 서강대 교수는 “중국경제 소프트랜딩(Soft Landing)의 성공은 투자에서 소비로의 부드러운 전환에 달려 있다”며 “한국 기업도 소비재와 서비스 산업에서 혁신제품으로 승부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투자’브레이크, 8조 아시아 인프라 공략해야
투자증가율도 역시 감소추세다. 한국의 대중 투자증가율은 2010년 19%에서 지난해 -10.3%로 떨어졌다. 200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저렴한 인건비를 활용하기 위해 많은 국내 기업들이 중국에 진출했지만, 지난 5년간 평균임금이 35.1%가량 상승하면서 투자증가율이 급락한 것.
삼성, LG 등 주요기업들은 베트남, 인도, 인도네시아 등 ‘포스트 차이나’를 찾아 공장을 이전하고 있다. 한국기업들은 8조 달러에 달하는 아시아 인프라 시장을 적극 공략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한상의는 “인프라 사업의 경우, 대규모 자금이 투입되는 만큼 정부주도의 컨소시엄 구성이나 정책금융 지원이 필요하다”며 “동북아개발은행·아시아투자개발은행(AIIB) 구상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만큼 민·관 공조를 통해 인프라 프로젝트 수주에 적극 힘써야 한다”고 피력했다.
‘금융’브레이크, 금융리스크 관리 강화해야
중국의 금융은 급격히 얼어붙고 있다. 대부분의 한국기업은 중국 진출 시 영업망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중국 대리상을 통하는데, 결제방식의 60%정도가 외상거래다. 그런데 최근 경기둔화로 중국 금융기관들이 기업금융을 옥죄기 시작하면서 매출채권 회수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어 한국기업들이 곤란을 겪고 있다는 보고가 있다.
중국 현지의 국내 시중은행 고위 관계자는 “중국경제의 전망이 어두워 중국기업과의 거래가 매우 뜸하다”며 “국영기업이나 100% 확실한 담보가 보장된 기업을 제외한 민영기업과의 신규거래는 작년 초 이후 거의 없는 상태”라고 전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거래처의 금융리스크 관리를 한층 강화하고 수준 높은 품질의 제품으로 승부해야 중국의 오랜 상거래 관습을 뛰어넘을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전수봉 대한상의 본부장은 “중국은 인구보너스의 소멸, 제조업과 부동산 공급과잉 등 경제성장을 제약하는 요인들이 많지만, 일대일로(一帶一路) 전략, 신형도시화 등 새로운 성장동력에 대한 기대도 크다”며 “중국이 만들어가는 국제 비즈니스 환경 변화에 잘 적응하기 위해 철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