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건설, 환경 분야 중미 공략 노하우 공유
한-중미 6개국 FTA 1차 협상 시작으로 중미 국가들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는 가운데 한국무역협회(회장 김인호)는 22일 '한-중미 비즈니스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에서는 중미측 FTA 협상 수석대표들이 참석해 유망 진출 분야를 소개했으며 도화엔지니어링, 한아도시연구소, 한솔 EME 등 우리 기업들이 에너지, 건설, 환경 분야에서의 진출 성공 사례와 노하우를 공유했다. 이번 포럼에는 무역업계 및 관련기관 100여명이 참석해 중미 시장에 대한 투자 및 수출 확대 기회를 모색하고 양측 간 실질적인 비즈니스 협력 분야를 논의하는 장이 됐다.
한국무역협회 김정관 부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한-중미 FTA 협상이 조속히 마무리돼 양지역 간 교역 투자가 확대되고 다양한 분야에서 경제협력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하고 아울러“세계 최빈국에서 반세기 만에 선진경제로 도약한 한국의 발전 경험을 공유해 중미 국가의 경제발전에 기여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또한 산업통상자원부 김학도 통상교섭실장은 축사에서 “중미 6개국은 산업화 및 경제 개발을 적극 추진 중인 상황이며 건설, 인프라 분야의 향후 개발 수요가 크게 늘어날 것”이라 언급하고“우리나라의 기술 및 발전 경험을 공유하는 상생형 협력 모델을 통해 우리기업의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권기수 팀장은 향후 중미 6개국과 우리나라의 협력방안으로“기존의 섬유 및 의류산업의 협력을 넘어 헬스케어, ICT, 환경 등 더욱 포괄적이고 부가가치가 높은 산업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밝혔으며 “한국이 지닌 기술력, 기업 브랜드와 중미 6개국의 천연자원, 인적자원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고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아도시연구소 강봉준 대표는 온두라스의 알리안사, 아마필라, 니카오메 개발프로젝트에 진출했던 사례를 소개하며“아시아·아메리카 대륙간 물류 이동 증가로 물류 분야의 성장 가능성이 확대됨에 따라 중미 6개국은 도로, 항만 등 SOC와 에너지 분야의 인프라 수요가 증대될 것”이라 밝혔다.
한솔 EME 해외영업팀 전형렬 차장은 니카라과 상수도 프로젝트 수주 성공사례를 소개하며 “고객·지역사회와의 커뮤니케이션, 정밀한 품질관리, 기후와 현지 인력을 고려한 스케쥴 관리 3가지가 중미 진출의 핵심 포인트”라고 강조하며 “향후 FTA를 통해 양국간 구체적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하고 동시에 우리나라의 기술 및 개발 경험을 공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외에도 산업부 정용헌 에너지자문관이 중미 6개국의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발전 방안을 제안했고, 도화엔지니어링 강호정 전무는 니카라과의 태양광 발전 사례와 중미 국가들의 신재생 에너지 시장을 소개했다.
이번 포럼에 참석한 기업들은 중미 시장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계기가 됐으며, 한-중미 FTA를 계기로 향후 중미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