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심층기획 에너지·ICT 융합으로 여는 에너지신산업
홍보영 기자|papersong@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심층기획 에너지·ICT 융합으로 여는 에너지신산업

전기를 자유롭게 사고파는 ‘전력 프로슈머’ 도래한다

기사입력 2015-12-10 08:15:26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에너지·ICT 융합으로 여는 에너지신산업


[산업일보]
정부가 에너지와 정보통신기술(이하 ICT)의 융합을 통해 신산업을 창출하는 ‘2030 에너지신산업 확산전략’을 발표하면서 전력시장의 판도 변화를 예고했다. 이 전략에서 정부는 오는 2030년까지 에너지신산업을 100조 규모로 키우고, 50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고 선언했다.


‘전력 프로슈머’ 시장 열린다

지금까지 한국의 전력시장은 한국전력공사(이하 한전)가 독점해 왔다. 그런데 전문가들은 이제 한국의 전력시장에 민간 기업들이 참여해 소비자 선택의 폭이 넓어질 뿐 아니라, 전기소비의 효율이 높아질 것이라고 판단한다.

이미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에서는 전력시장이 민간에 개방해 전기를 자유롭게 사고 팔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누구나 신재생설비, 에너지저장장치, 전기차 등을 통해 생산한 전력을 자유롭게 매매할 수 있도록 ‘전력 프로슈머(Prosumer)’ 시장을 개설하고, 단계적으로 제로 에너지 빌딩을 의무화한다는 방침이다. 프로슈머란 프로듀서(Producer, 생산자)와 컨슈머(Consumer, 소비자)의 합성어다.

지능형전력계량 인프라 구축으로 포문 열어

정부는 지난해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에서 에너지 정책을 공급중심에서 수요관리형으로 전환하겠다고 밝혔으며, 한전의 전력사용 계량 데이터를 민간에 개방할 예정이다.

계량 데이터 개방을 위해 오는 2020년까지 1조7천억 원을 투자해 2천194만호 전 고객에게 AMI(지능형전력계량 인프라)를 설치할 계획이다. 전문가들은 전력 계량데이터를 공개하는 것은 전력 프로슈머 시장을 여는 첫 단계라고 풀이하고 있다.

수용가의 전력 사용에 대한 정보를 전력회사에 전송해주는 장치인 AMI는 원격부하 제어, 모니터링 등 다양한 서비스가 가능하다. AMI를 통해 수집한 전기 사용정보를 공개하겠다는 것. 그수요예측 및 관리, 전력계통 운영 등에 활용할 수 있는 AMI가 보급되면 민간기업, 연구자 등을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창출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계량 데이터를 분석‧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DMC(Date Magement center)도 구축 예정이다.

국제표준 기반 에너지 거래기술

전력 프로슈머 시장의 도래를 위해 ETRI는 국제표준 기반 에너지 거래기술을 개발했다. 컴퓨터끼리 각 에너지 정보를 교환하는 프로토콜 기술, 개인과 개인이 직접 연결해 정보를 공유하는 P2P(Peer to Peer)기반 기술, 여기저기 분산된 에너지 자원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기술, 판매자가 구매자에게 에너지를 보내는 에너지 거래기술 등이 핵심 내용이다.

발전량, 사용 가능한 스케줄, 가격 등의 전기 에너지 정보를 중개시장 서버에 등록하면 된다. 이렇게 되면 많은 이점이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그간 태양광, 연료전지, 풍력, 에너지저장장치 등을 보유한 업체들은 대게 규모가 작아 입찰을 할 수 없었지만, 보다 에너지 거래가 유연해질 전망이어서 관련업계의 기대가 높다.

에너지 ‘소유’에서 ‘공유’의 시대로

전문가들은 이런 시장이 열리면, 에너지 ‘소유’에서 나아가 에너지 ‘공유’ 시대를 맞이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에너지 거래‧공유기반 기술의 확보를 통해 기술 우위를 점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한다.

특히, ICT를 접목해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한 스마트그리드를 소규모 지역에 알맞게 적용한 ‘마이크로 그리드’를 개발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日, 전력시장 완전경쟁체제 돌입한다

우리보다 한발 앞서 전력시장을 개방해온 일본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약 20년 전부터 전력시장을 조금씩 개방해온 일본은 내년 4월에는 약 80조원의 소매시장을 완전경쟁체제로 전환할 방침이다.

일본의 전력시장 개방은 2000년부터 시작됐다. 전력회사가 소유한 송배전망의 사용을 자율화한 것. 전력사업자(PPS)는 2MW 이상의 초고압 수용가에게 전기를 판매토록 했다. 2004년 4월에는 500kW 이상의 수용가에게도 판매를 허용했으며, 다음해에는 50kW 이상의 수용가에게 시장을 개방했다.

그러다가 지난 2011년 후쿠시마 원전 폭발사고 이후로 심각한 전력난에 휩싸이자, 정부는 전력시장의 완전경쟁을 통해 전기요금 인하를 시도하기로 했다.

각 지역을 독점해온 10개의 전력회사를 묶는 광역계통운영기관(OCCTO)를 설립하고, 2020년까지 송배전 부문을 자회사로 분리할 계획이다.

전력시장 개방에 대한 정부 방침이 발표되자, 신전력 사업자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으며, 전기와 이종 서비스 결합 사업이 늘어나고 있다.

에너지 정책, 공급에서 수요중심으로 변해야

전력시장이 민간에 개방되면, 다양한 서비스와 새로운 수익 모델이 대거 창출될 것으로 전망된다. 전력시장의 자유경쟁체제는 자연히 에너지저장장치의 소프트웨어 및 운영체계의 발전을 이끌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국내 전력 프로슈머 시장의 도래를 위해서는 염두에 둬야 할 것이 있다. 바로 민간기업의 투자를 장려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와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다. 거대한 규모의 투자가 이뤄져야 하는 만큼, 민간기업의 신뢰를 얻을 수 있도록 정책의 일관성과 지속성이 필요하다.

또한 시장이 형성되는 초기에는 정부와 공기업의 지원이 요구된다. 아직 국내 실정을 보면, 전기차 충전인프라 구축, 초고압 직류성전시스템 등 물리적 인프라를 구축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공급중심의 정책 방향이 수요중심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지적한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산업1부 홍보영 기자입니다. 국내외 무역과 로봇, IoT, 기계·금형산업에 대한 참 소리를 전합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