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속보 한국사회 휩쓴 메르스, 격리자 1만6천 여 명
안영건 기자|ayk2876@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속보 한국사회 휩쓴 메르스, 격리자 1만6천 여 명

한국 총 186명 메르스 환자 중 38명 사망, 치명률 20%

기사입력 2015-12-24 07:50:06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한국사회 휩쓴 메르스, 격리자 1만6천 여 명
메르스의 전 세계 전파 현황/자료 : European Centre for Disease Prevention and Control(2015). “Communicable Disease Threats Report,week 49”, ECDC.

[산업일보]
올해 한국사회 초유의 사태는 메르스로 1만 6천명을 상회하는 대규모 격리조치를 취한 것으로 12월10일 현재까지 한국의 메르스 감염 확진자는 186명으로 최종 집계된 가운데 퇴원 146명, 치료중 환자 2명, 사망자 38명이며 현재까지 격리자는 총 16,752명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경기연구원은 메르스 사태를 토대로 올바른 격리조치 방안을 담아 <메르스 격리자, 공공의 적이었나?>라는 연구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히고
전 세계 메르스 감염 환자는 2012년 3월부터 2015년 12월 3일까지 1,640명에 달하고, 그 중 사망자는 636명으로 치사율은 39%에 이른다고 밝혔다.

전 세계 감염 환자의 87%에 달하는 1,427명의 환자가 중동지역에서 발생했고, 그 중 587명이 사망해 중동지역만 고려했을 때 치명률은 41%다. 한국은 총 186명의 환자와 38명이 사망해 약 20%의 치명률을 기록해 중동지역 다음으로 피해가 큰 국가로 등극했다.

메르스 사태에 대한 정부의 초동대처는 미흡했으나 추후 강력한 격리조치로 대응함으로써 메르스 확산 방지에 긍정적인 효과를 거뒀다. 다만, 이 과정에서 접촉자에 대한 격리의 법적 근거가 모호했고, 격리 대상자들의 인권과 그들의 사회적 차별 및 배척에 대한 배려가 부족했던 것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이은환 연구위원은 “격리조치 시 국민들에 대한 충분한 설명과 홍보를 통해 격리의 필요성과 범위에 대한 공감대 형성 및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 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격리 대상자의 선정기준 및 범위 등 세부지침을 마련해 통합적이고 일관성 있는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무조건적인 격리보다 주기적으로 대상자의 상태를 확인하는 능동감시가 효율적이라는 의견도 나왔다. 그 이유는 지금 당장 병원균을 퍼뜨릴 위험이 없는 접촉자에 대한 격리조치는 법적 및 임상적으로 근거가 부족하다는 말로 풀이된다. 이 밖에도 격리자들의 경제적 손실에 대한 합리적이고 충분한 보상이 이루어진다면, 격리자들 스스로 방역의 주체가 되는 동기를 부여할 수도 있을 것이라는 의견을 내비쳤다.

이 연구원은 가능한 최소 범위에서의 격리조치, 격리조치로 인한 감염자 및 접촉자들의 심리적·정신적 치료를 위한 정신보건서비스 지원도 중요한 사항으로 언급됐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산업분야 최고의 전문기자를 꿈꾸고 있습니다. 꾼이 꾼을 알아보듯이 서로 인정하고 인정받는 프로가 될 것임을 약속드립니다. ‘The pen is mightier than the sword’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