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환경부, 2014년 폐석탄광산 7곳 조사…6곳 토양오염기준 초과
홍보영 기자|papersong@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환경부, 2014년 폐석탄광산 7곳 조사…6곳 토양오염기준 초과

기사입력 2015-12-28 10:30:39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산업일보]
환경부(장관 윤성규)가 지난해 폐석탄광산 주변을 중심으로 토양, 수질 등의 오염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정밀조사를 실시한 결과, 강원 태백 함태탄광 등 조사 대상 7곳 중 6곳의 광산이 토양오염기준을 초과해 정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 폐석탄광산은 강원 태백 지역에서 함태탄광, 함태-한남탄광, 동해-삼창탄광 3곳이며 강원 영월 지역에서 옥동탄광, 옥동-선진탄광, 후천탄광, 동원-덕일탄광 4곳이다.

이들 탄광 중 함태-한남탄광을 제외한 6곳에서 토양오염우려기준을 초과하는 오염과 함께 수질오염도 발견됐다. 이 중 주변 농경지가 비소(As), 아연(Zn), 구리(Cu) 등 중금속으로 오염돼 정화가 필요한 광산은 함태, 동해-삼창, 옥동, 후천, 동원-덕일 등 5곳이다.

정화가 필요한 면적은 조사면적의 46.0%인 33만 7,660m2이며 특히 옥동광산은 조사지점의 50% 이상에서 토양오염이 확인됐고, 토양오염대책기준을 넘는 농도의 비소도 발견됐다. 또한, 옥동-선진광산을 제외한 6개 광산의 갱내수에서 수질오염이 확인됐다.

한편, 환경부는 전국 폐석탄광산 423곳에 대한 기초환경조사를 2010년부터 추진해 2014년까지 조사를 완료했다.

조사를 끝낸 423곳의 광산 중 오염 개연성이 발견되어 정밀조사가 필요한 238곳의 광산을 선정했다.

정밀조사가 필요한 광산은 전체 폐석탄광산 423곳을 140개의 하천별로 구분해 오염원, 오염상태, 오염영향 등 3개 평가인자로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토양오염우려기준 70% 이상, 수질 오염초과 여부 등을 평가해 선정했다.

환경부는 이번 조사결과를 산업통상자원부, 농림축산식품부 등 관계부처와 해당 지자체 등에 통보하고 주민 안전조치, 광해방지사업 추진 등을 요청할 예정이다.

아울러, 정밀조사 대상 폐석탄광산 238곳 중 2014년에 실시한 함태탄광 등 7곳을 제외한 231곳에 대해 순차적으로 하천별 우선순위에 의해 정밀조사를 추진하고, 관계기관과 긴밀히 협조해 폐광산주변의 환경오염 방지과 주민 건강관리에 힘쓸 계획이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산업1부 홍보영 기자입니다. 국내외 무역과 로봇, IoT, 기계·금형산업에 대한 참 소리를 전합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