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기술수준이 발전하면서, 기술 향유에도 빈부격차가 생기고 있다. 특히, 사회계층별로 정보화 수준이 많이 벌어져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는 한국정보화진흥원(원장 서병조)과 공동으로 전국 장애인․장노년층․농어민․저소득층 등의 정보격차 수준을 조사한 ‘2015 정보격차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유선PC기반 정보화수준은 79.5%로 전년(76.6%) 대비 2.9%p 향상됐으며, 스마트정보화수준은 59.7%로 전년(57.4%) 대비 2.3%p 개선된 것으로 조사됐다.
유선PC기반 정보화수준을 2014년도와 비교하면, 접근수준은 일반국민의 94.6%(0.3%p↑), 역량수준은 70.8%(6.7%p↑), 활용수준은 68.0%(4.5%p↑)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선․모바일을 통합한 스마트정보화수준은 일반국민의 59.7%로, 접근(80.8%)은 일반국민과의 격차가 19.2%로 그 차이가 상대적으로 작았으나, 역량(44%) 및 활용(60%)은 일반국민과의 격차가 각각 56%, 40%로 그 차이가 크게 조사됐다.
계층별로는 저소득층(74.5%), 결혼이민자(73.1%)의 경우 일반국민과의 격차가 각각 25.5%, 26.9%로 타계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았지만, 장노년층(56.3%)과 농어민(55.2%)의 경우 일반국민과의 격차가 각각 43.7%, 44.8%로 타계층에 비해 스마트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정보격차지수를 최초로 산출한 2004년부터 2015년까지 PC기반 정보화수준 추이를 분석한 결과, 45.0%(2004년)에서 79.5%(2015년)로 정보취약계층의 정보화수준이 크게 개선(34.5%p↑)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수 산출 원년(2004년)과 비교할 때 PC 및 인터넷 이용능력 보유여부를 측정하는 정보역량의 향상(43.3%p↑)이 두드러졌으며, 정보활용(34.9%p↑)과 정보접근(30.9%p↑) 수준 향상이 뒤를 이었다.
계층별 개선폭은 지수 산출 원년(2004년)과 비교할 때 농어민(38.4%p↑), 장노년층(36.5%p↑), 저소득층(32.1%p↑), 장애인(28.7%p↑) 순으로 나타나 농어민(2.1배)과 장노년층(1.9배)의 정보화수준이 큰 폭으로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미래창조과학부 송정수 정보보호정책관은 “이번 조사를 통해 지난 10여 년 간 민관의 노력으로 전통적인 PC기반 정보격차를 해소했다”고 평가하고, “향후 ICT 환경변화를 고려해 스마트 정보격차 해소에 역점을 두고 다양한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며 아울러 정보격차실태조사는 2016년부터 ‘스마트격차조사’로 전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