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인포그래픽뉴스] 일반기계 증가세로 돌아서나
박혜선 기자|phs85@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인포그래픽뉴스] 일반기계 증가세로 돌아서나

건설기계 산업, EU 시장 회복에도 다소 '부정적'

기사입력 2016-03-29 09:37:51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인포그래픽뉴스] 일반기계 증가세로 돌아서나


[산업일보]
지난 2월 건설기계 산업은 EU시장 회복(2016년 1월 29%)에도 불구, 신흥시장 구매력 감소, 통화가치 하락 등 부정적 여건이 지속됐다. 반면 공작기계의 경우 중국 현지공장(창저우 공장) 수출은 증가했다.

자동차부품은 신흥시장 경기침체(중국 등)로 인한 국내 완성차 업체 해외생산ㆍ판매 감소, 중국, 중동, 중남미 등 신흥시장 중심으로 수출 부진을 면치 못했다.

지난 2월 한달 간 한국 주력품목인 컴퓨터·무선통신기기· 일반기계 증가세 전환, 선박을 제외한 나머지 품목의 전년동기비 감소율은 지난 1월 대비 완화세를 보였다.

산업통상자원부의 2016년 2월 수출입동향을 보면 컴퓨터는 PC 교체 수요가 늘었고, 무선통신기기(갤럭시S7 등 신제품 출시효과), 일반기계(중국·EU 등) 수요가 증가했다. 반면 반도체·평판DP· 철강(공급과잉에 따른 단가하락), 석유제품·석유화학(유가급락에 따른 단가하락), 자동차(신흥시장 수요감소) 등은 하락세를 이어갔다. 이 가운데 석유화학·섬유(춘절 전후 中 수요회복), 철강(철구조물 수출 증대) 등 선박 제외한 모든 품목의 전년동기비 감소율이 1월 대비 완화되는 형국으로 진행됐다.

선박·해양플랜트의 경우 전년기저 효과(2015년 2월 53억 달러→올해 2월 29억 달러)로 1월 대비 감소액이 확대(1월 15억 달러→2월 24억 달러)됐고 유망품목인 OLED와 화장품 등은 1월 대비 수출 증가율 확대, SSD(물량 증가 불구, 단가하락)는 1월 대비 수출 감소율이 완화됐다.

한국의 對베트남·美 수출 등 증가세로 전환되면서 對 EU 수출이 상승세를 탔다.

2월 수출은 저유가, 단가하락, 세계 경기부진 등 부정적 여건이 지속되는 가운데, 수출 물량 증가, 선박을 제외한 주요 품목의 증감률 개선 등으로 1월보다 감소율이 완화된 모습을 나타냈다.

선박(△24억달러)·석유제품(△6억달러) 중심으로 수출 감소폭이 컸으나, 무선통신기기· 컴퓨터 수출 증가세 전환, 선박 제외 일평균 수출 증가 등이 수출 감소율 완화에 기여했다.

한편 2월 수출 364억달러(전년동기대비 △12.2%), 수입 290억달러(△14.6%), 무역수지 74억달러 흑자(49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中 등 신흥국 경기 둔화, 저유가 장기화 가능성
대외여건이 불확실, 수출 감소세 당분간 지속 전망

반도체
메모리의 경우 D램 가격 하락 등 가격하락 요인이 예상된다. 시스템반도체는 중저가 스마트폰 시장 확대로 DDI․CIS 등 수출 양호가 점쳐지고 있으며, 패키징 물량 감소 등은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소지가 있다.

무선통신기기
스마트폰 시장성장률 둔화, 글로벌 경쟁심화가 점쳐지고 있다. 갤럭시S7 등 신제품 출시에 따른 초도물량 수출 개시로 증가세를 기대하고 있다.

평판 디스플레이
LCD는 글로벌 수요정체에도 불구, 중국 패널업체의 지속적인 출하량이 확대되면서 LCD 패널가격이 떨어지고 있다. OLED를 채용한 중저가 스마트폰의 수요가 늘면서 OLED 출하량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선박
전년 2월은 고가 해양플랜트가 다수 포함돼으나 올해 2월은 상선 위주 수출로 수출 감소를나타냈다. 선가지수의 경우 2007년 이후 하락세를 보이다 2013년 발주량 증가로 단기 상승, 2014년 이후 발주량 감소로 또다시 하락했다.

철강제품
철구조물 수출 증가로 수출단가는 소폭 하락했다. 글로벌 철강 수요 부진, 수입규제 피소 우려, 저가 중국·러시아산 대비 가격경쟁력 열위 등 부정적 수출여건이 이어지고 있다.

석유제품
국제유가 하락에 따른 수출단가 하락이 석유제품 수출액 감소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저유가에 따른 휘발유 등 석유소비 회복, 양호한 정제마진 추세 지속으로 수출물량은 전년대비 증가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다.

석유화학
국제유가 하락 지속에 따른 주요 수출제품 국제가격 하락 압박으로 수출 단가는 중국 춘절 전후의 구매 심리 완화 및 재고량 확보를 위한 수요 증대로 수출물량 증가를 예상할 수 있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MICE부 박혜선 기자입니다. 산업관련 전시회가 열리는 곳이면 어느 곳이든 발 빠르게 찾아갑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