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카타르 등 중동지역 공기조절기, 밸브, 화학기계 수요 급증
안영건 기자|ayk2876@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카타르 등 중동지역 공기조절기, 밸브, 화학기계 수요 급증

기계산업진흥회, 중동 플랜트기자재 시장점유율 확대 나서

기사입력 2016-04-01 12:21:33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카타르 등 중동지역 공기조절기, 밸브, 화학기계 수요 급증


[산업일보]
쿠웨이트의 CFP 2020(Clean Fuel Project 2020), 카타르의 QNV 2030(Qatar National Vision 2030), 오만의 VISION 2020 등 각 국가별 국책사업이 본격화되면서 한국산 플랜트기자재와 기계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한국기계산업진흥회(회장 정지택, 이하 ‘기산진’)은 이에다라 국내 우수 플랜트기자재 업체들의 현지 바이어와의 개별상담을 통한 수출시장 개척 및 확대에 나서기로 했다.

기산진에 따르면 기계류 및 플랜트기자재의 중동지역 수출확대를 위해 이달 2일부터 7일까지 카타르 도하, 오만 무스카트, 쿠웨이트 쿠웨이트시티 등 3개 지역에 중동 시장개척단을 파견한다고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 지원으로 추진되는 이번 시장개척단은 서울테크(주), (주)하이텔파이, (주)빅스코 등 국내 우수 중소기업 10개사가 참가해 현지 바이어와 수출상담회 및 벤더등록설명회를 진행한다.

파견국들은 최근 공기조절기, 화학기계, 밸브 등 플랜트기자재 수요가 늘어 우리나라 관련 품목 수출도 호조를 보이고 있다.

쿠웨이트는 2014년 120억 달러 규모의 클린퓨얼 프로젝트, 2015년 130억 달러 규모의 알주르 신정유단지 등 대형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플랜트기자재 수요가 늘자, 지난해 11월부터 공기조절기, 화학기계 등을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대 쿠웨이트 수출이 큰 폭의 증가세를 보이며 활기를 띠고 있다.

카타르는 담수화시설 프로젝트, 저장 및 상수도공급 프로젝트, 하수처리 프로젝트 등 수자원 인프라를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어 파이프, 밸브, 정수 및 수처리 장치 등의 관련 기자재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오만 역시 지난해 공기조절기, 밸브, 화학기계 등이 전년대비 500%이상의 수출증가에 이어 올해도 화학기계를 중심으로 높은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한국기계산업진흥회 박영탁 상근부회장은 “플랜트기자재 발주처는 까다로운 국제기술규격 인증서 제출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아, 국제인증을 획득하여 기술력을 인정받은 기업들을 중심으로 수출이 호조를 보이고 있다”며, “이번 시장개척단 추진과 더불어 우리 기업들의 국제인증획득을 위한 사업도 추진해 국제경쟁력 제고 및 수출확대를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산업분야 최고의 전문기자를 꿈꾸고 있습니다. 꾼이 꾼을 알아보듯이 서로 인정하고 인정받는 프로가 될 것임을 약속드립니다. ‘The pen is mightier than the sword’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