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요르단 중고차 시장이 바짝 얼어붙었다. 요르단 정부가 중고차 관련 세금을 인상했고 주변국 정정 불안 및 세금 인상으로, 요르단 중고차 시장이 당분간 어려울 전망이다.
KOTRA 암만 무역관에 따르면 요르단 정부는 IMF로부터의 차관 승인을 위해 자체 경제회복 자구책을 마련했다. 이는 그 일환으로 시행되는 조치다. 요르단 정부는 지난달, IMF로부터 7억 달러의 차관을 요청하는 서신을 보냈다. IMF는 향후 조사단을 파견해 요르단 정부의 자구책 및 기타 조건 등을 검토해 차관 여부를 최종 확정할 예정이다.
현재 요르단 중고차 상인들은 정부의 이 같은 조치에 거세게 반발하며, 정부의 조치가 철회될 때까지 무기한 파업에 들어간 상태다. 일부 바이어들은 세금을 더 걷을 수 있을 것이라는 정부의 예상과는 달리 세수가 줄어들 것이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요르단 자유경제구역 투자자 협회(이하 JFZIC)에 따르면 요르단 경제자유구역에는 중고차 매매 관련 약 4천 명, 600개 딜러샵이 운영되고 있다. 이 분야는 연간 25억 요르단 디나르 가량의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2014년 IS가 이라크에서 득세한 이후 요르단-이라크 국경이 폐쇄됐으며, 이전에는 매달 1만1천 대의 차량이 요르단에서 이라크로 재수출됐으나 현재는 이 대형시장이 통째로 사라진 상태다.
요르단 정부의 세금인상 정책 결정 후 약 1개월 뒤, 요르단 재무부와 JFZIC는 긴급 회동을 통해 문제 타개책을 협상했다. JFZIC는 기존 조치를 중단하고 대신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대안들을 요르단 정부에 제시했으나, 요르단 정부는 기존 조치를 계속 이어나갈 수밖에 없다는 입장을 보였다. 그러나 요르단 정부는 업계에서 다른 대안을 제시하면 언제든 검토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KOTRA 암만 무역관 측은 “요르단 정부의 이 조치로 인해 요르단 중고차 업계는 당분간 얼어붙을 것으로 보인다”며 “요르단 정부로서도 IMF 차관을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는 만큼, 이 조치 철회는 매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또한 “2014년 기준 한국에게 요르단은 중고차 1위 수출국으로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으나, 이번 조치로 인해 직접적으로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추측된다”면서 “한국 업계는 요르단 정부가 언급한 대로 다른 방법의 문제 해결책이 나올 것인지 지켜봐야 할 것이며, 이번 조치의 철회 가능성이 매우 낮은 만큼 스스로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