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한국기계연구원, 초고속 운송수단 공동연구
최시영 기자|magmacsy@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한국기계연구원, 초고속 운송수단 공동연구

UNIST 공동협력 협약 체결, 협력관계 구축

기사입력 2016-08-12 11:21:15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한국기계연구원, 초고속 운송수단 공동연구
한국기계연구원 임용택 원장(왼쪽)과 UNIST 정무영 총장(오른쪽)이 11일 미국 댈러스에서 열린 ‘UKC 2016’에서 만나 초고속 운송수단 공동연구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뒤 악수를 나누고 있다. (사진=한국기계연구원 제공)


[산업일보]
한국기계연구원이 UNIST와 공동협력협약을 맺고 초고속 운송수단 공동 연구를 추진키로 했다.

12일 미래창조과학부 산하 한국기계연구원(원장 임용택)에 따르면 현지시간 11일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에서 열린 ‘2016 한·미 과학자대회(UKC 2016)’에서 UNIST 정무영 총장과 만나 초고속 운송수단 공동연구를 위한 업무협약을 추진했다.

두 기관은 지난 5월 미국에서 첫 음속주행 시험을 마치며 화제를 모았던 초고속 교통시스템 ‘하이퍼루프(hyperloop)’ 관련 기술의 국내 개발을 위해 손을 맞잡았다. 당시 하이퍼루프 주행시험에는 자기부상 방식이 적용됐다.

하이퍼루프는 엘론 머스크가 고안한 초고속 교통시스템으로 공기저항이 없는 진공터널을 만들고 그 안에 고속열차를 자기부상원리로 띄워 저항 없이 음속에 가까운 속도를 내는 기술이다. 개발업체인 ‘하이퍼루프 원’은 지난 5월 11일 미국 라스베거스에서 첫 추진체 주행시험을 실시하기도 했다.

기계연은 자기부상열차 개발 경험으로 축적된 기술을 초고속 교통시스템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비롯해 관련 연구 분야를 모색할 계획이다. UNIST도 하이퍼루프의 핵심 요소기술 개발에 착수키로 하고 관련 연구기관과 협력관계 구축에 나섰다.

임용택 원장은 “기후변화와 같은 인류가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기부상열차 같은 친환경 교통수단의 발전이 필요하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학·연 간 연구협력을 강화해갈 것”이라고 말했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안녕하세요. AI와 로봇에서부터 드론과 사물인터넷 등 첨단 기술에 대한 정확한 정보전달을 해 나나가겠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