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경제 구현 위한 창업선도대학
지정 대학 및 예산 지속적 확충
2011년부터 대학 중심의 한국형 창업 클러스터 구축을 위해, 주요 권역별 창업선도대학을 지정해 창업 전 과정을 일괄 지원하는 ‘창업선도대학 육성사업’이 창조경제 기반의 기술창업 프로그램으로 변화된다.
중소기업청(이하 중기청)은 17일 그간 창업선도대학 육성사업 운영상의 문제점을 중점 보완해 ‘창업선도대학 고도화 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방안은 지난 4월 발표한 ‘창업·벤처 정책 패러다임 혁신’의 정책방향을 ‘창업선도대학 육성사업’에 구현한 창조 경제 기반의 발전계획으로서 지난 5년간의 성과와 한계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통해 3대 혁신 전략과 10개 정책과제를 마련했다.
3대 혁신전략과 그에 따른 10개 과제를 간단히 소개하자면 첫 번째 전략은 창업선도대학 육성 정책의 전략성 강화다. 과제는 ▲성과·역량에 따른 맞춤형 육성체계 정립 ▲선도대학 발전방향 정립 및 표준모델 확산 ▲선도대학 평가관리체계의 성과창출형 혁신이다.
두 번째 전략은 시장원리에 기반한 창업자 발굴·양성이다. ▲찾아가는 기술창업자 발굴시스템 마련 ▲창업자 성장촉진을 위한 대학 투자 활성화 ▲창업자 선정평가체계의 시장밀착형 혁신 ▲창업자 역량·수요 맞춤형 프로그램 개편이 두 번째 전략의 과제다.
마지막 세 번째 전략은 창업친화적 제도 개선 및 인프라 구축이다. 10개 과제 중 세 번째 전략의 과제는 ▲창업친화적인 학사제도 발굴 및 개선 ▲창업지원 조직체계 확립 및 위상 강화 ▲선도대학 중심의 지역 창업생태계 구축이다.
김형영 중기청 창업벤처국장은 “창업선도대학은 창조경제 구현을 위한 핵심정책수단으로서, 지정 대학 및 예산이 지속적으로 확충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이번 방안을 통해 청년기술창업 육성을 대표하는 창업 선도대학 프로그램에 대한 근본적 혁신을 추진해 시장원리에 기반한 창업자 발굴·육성을 촉진해 글로벌 스타 벤처기업을 배출하고 그에 따른 성장이익을 대학이 공유하는 인센티브체계를 마련해 창업선도대학을 명실상부한 ‘창조경제의 거점’으로 육성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