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조선밀집지역에 창원 진해구 포함돼야...”
김민솔 기자|mskim@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조선밀집지역에 창원 진해구 포함돼야...”

기사입력 2016-11-04 17:28:07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산업일보]
정부의 '조선밀집지역 경제 활성화 방안' 발표와 관련, 창원 진해구도 이 지역에 포함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정부의 활성화 방안은 경남권(거제·통영·고성), 울산권(동구·울주), 전남권(영암·목포), 부산권(강서·영도), 전북권(군산) 등 5개 권역 10개 시·군·구를 조선업 밀집지역으로 지정해 내년 중 2조 7천억 원을 지원한다는 내용을 주요 골자로 하고 있다.

5일 창원상공회의소에 따르면 경남권 조선업 밀집지역에 국내 1위의 중형조선소인 STX조선해양㈜가 위치해 있고, 선박구성품 및 조선기자재 업체가 밀집해 있는 창원시 진해구가 조선업밀집지역에 빠져 있어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는 것.

2014년 사업체총조사(전국 단위로 실시한 사업체 전수조사 중 가장 최근 자료)를 통해 본 ‘선박 및 보트 건조업’ 제조업의 사업체 수는 창원시가 185개 사, 종업원 수 5천519명이며, 이 중 진해구가 84개 사, 종사자 수 4천544명으로 부산광역시 영도구와 강서구(업체 수 187개 사, 3천666명), 경남 통영시(업체 수 79개 사, 4천237명), 경남 고성시(업체수 201개 사, 4천512명)와 비교해 사업체 수와 종업원 수 면에서 비슷하거나 큰 수준이다. 게다가 진해구는 인구와 산업 규모 면에서 여느 자치구와 비교해서 작지 않은 규모의 행정구다.

특히 창원지역은 STX조선해양과 STX중공업㈜, ㈜포스텍 등 전국에서는 유일하게 지역 내 조선 및 조선기자재 업체가 법정관리에 들어간 상태고 정부 주도의 조선산업 지원이 전국 어느 곳보다 절실한 지역이다.

동해안과 남해안 일대에 분포한 조선산업 네트워크는 상호 연관성이 깊어 단순 행정구역으로 지원 지역을 지정한다는 것도 오류가 있다는 게 창원상의의 말이다.

거제시, 창원시, 부산시 등 남해안에 분포한 조선 및 조선기자재 업체들은 같은 요인으로 경영애로를 겪고 있고, 이들 업체에 종사하고 있는 종업원 역시도 같은 처지에 놓여있다는 것에는 다를 바가 없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지난 7월 정부는 조선업을 특별고용지원업종으로 지정하면서 울산, 거제, 목포(영암), 창원(진해) 4곳에 조선업희망센터를 오픈했는데 정부에서도 창원(진해구)지역에서 조선업이 차지하는 비중과 조선업 위기에 따른 애로를 인식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창원상의는 이러한 실정을 담아 산업통상자원부에 정식으로 건의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창원상공회의소 관계자는 “기초자치구 내 제조업 중 조선산업 비중이 높은 지역을 조선밀집지역으로 지정하고, 밀집지역으로 지정된 지역만 정부주도의 지원을 받게 된다. 하지만 조선업 비중이 매우 높은 진해구가 자치구가 아닌 행정구라는 이유로 조선업밀집지역으로 지정되지 않은 것은 단순 행정 편의주의적 논리로 판단된다”며“현재 정부가 투입하는 막대한 자금이 단순 행정구역의 논리보다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실질적이고, 효율적으로 활용되기를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산업2부 김민솔 기자입니다.정부 정책 및 3D 프린터, IT, 산업현장 숨어있는 특화된 뉴스를 전해드리겠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