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베트남 전력산업의 개발 방향을 주시해 투자 기회를 찾아야 할 것으로 전망된다. 베트남은 투자비를 절감하기 위해 2030년 석탄연료 의존도를 53%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KOTRA 하노이 무역관에 따르면 전력 수요가 공급량을 초과하는 베트남은 지난해부터 2030년에도 꾸준한 경제 발전으로 인해 연간 에너지 소비량은 14%씩 증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베트남 정부는 올해부터 2030년의 연간 평균 GDP 성장률을 7%로 추산해 정비한 7차 전력 마스터플랜을 발표했다. 이전에는 전체 소모 에너지 중 신재생에너지 생산 비율을 2020년 4.5%, 2030년 6%로 목표했으나 지난 3월 전력 마스터플랜 개정안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비율이 2020년까지 5%, 2030년까지 11%로 상향됐다.
그러나 신재생에너지 산업은 베트남 정부의 우호적인 태도에도 불구하고 전체 전력 개발 계획 중 차지하는 비중이 비교적 작아 아직도 갈 길이 멀어 보인다. 현재 베트남 내 최대 전력원은 수력 발전이고 정부가 전력 마스터플랜을 통해 재생 에너지 중 수력 발전 에너지를 우선하겠다고 계획을 밝혔지만 실제 2030년 전력 개발 계획상 미래에는 석탄 화력 발전이 최대 전력원이 될 예정이다.
‘낮은 전기 요금’은 에너지 산업의 높은 투자비용을 회수하기에는 턱 없이 부족해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 투자를 저해하는 큰 걸림돌로 부각돼 왔다. 최근 베트남 정부는 투자자들에게 낮은 전기 요금으로 인한 손실을 보상해줄 ‘발전차액지원제도’로 개선안 마련에 나섰지만 제시된 지원금이 여전히 낮아 투자자들의 우려가 지속되고 있다.
정부는 이를 감안해 올해, 태양광 에너지 발전 프로젝트에 관련한 법적 기틀과 풍력 에너지의 발전차액지원금 인상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그러나 이처럼 인센티브 인상안이 제시돼도 그 금액이 여전히 낮은 수준이라, 12~13센트/kWh까지 구매가를 더 인상해야 한다는 의견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KOTRA 호치민 무역관 측은 “베트남 신재생에너지 산업에 투자를 희망하는 우리 관련 기업들은 베트남 정부에 풍부한 경험과 경쟁력 있는 비용을 어필해, 우선적으로 현지 관계당국과 우호적인 관계를 다져놓아야 한다”며 “베트남은 신재생에너지 산업에 관련한 법적 기틀과 가격 정책을 이제 막 정비하는 단계에 있으므로, 이를 고려한 다각도의 투자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베트남 정부는 투자비용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자 외국 투자자들에게 에너지 산업을 적극적으로 개방하는 추세”라며 “베트남의 신재생에너지 개발 계획 중 현재 베트남에서 생산되지 않는 원자력 발전도 포함돼 있으므로, 이에 따른 수주 및 설비 공급 기회도 꾸준히 주시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