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벨기에 온라인시장은 월평균 153유로가 의류, 숙박, 도서 구매를 위주로 지출되고 있다. 향후 벨기엘 내 모바일 쇼핑 시장 성장이 기대된다.
전자상거래 비영리단체 Econommerce Foundation의 지난해 발표된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 벨기에 온라인 쇼핑 시장규모는 전년대비 46.4% 성장한 약 82억 유로로 사상 최대 매출액을 기록했다.
KOTRA 브뤼셀 무역관은 2015년 한 해 벨기에 소비자들이 온라인을 통해 가장 많이 구매한 신규 품목은 의류로, 전체 구매의 52%를 차지한다. 그 뒤로 숙박 50%, 교통티켓 40%, 공연티켓 39%, 도서 38%, 신발 33% 순으로 많이 구매됐다고 밝혔다.
벨기에 온라인 쇼핑 소비자의 성별 비중은 남성 소비자가 68%, 여성 소비자가 61%를 차지하며 여성보다는 남성이 더 많이 온라인을 통해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비중은 18~27새 70%, 28~43세 70%, 44~59세 61%, 60세 이상 55% 등 주로 청장년층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벨기에 소비자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결제수단으로는 신용카드로 전체 거래의 37%를 차지하며 가장 보편화된 결제수단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 온라인 쇼핑을 이용하는 주요 요인은 ‘시간 절약’이 전체 응답의 42%를 차지했고 벨기에 소비자들에게 가장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벨기에 모바일 커머스 시장이 최근 급격하게 증가하는 추세다. 벨기에 스마트폰 유저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데 2012년 스마트폰 유저 비율은 전체 인구의 22%였으나 2013년 34%, 2014년 40%, 2015년에는 55%까지 증가했다.
2015년도 벨기에 전자상거래 사용자 중 21%가 모바일을 이용해 구매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중 87%의 응답자가 앞으로도 계속 모바일 구매를 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모바일을 통해 가장 구매를 많이 한 품목으로는 교통티켓, 의류, 콘서트 티켓, 숙박, 장난감, 도서 등이다.
KOTRA 브뤼셀 무역관 측은 “스마트폰 유저 확대에 따른 벨기에 모바일 쇼핑 활성화와 정부의 정책에 힘입어 향후 벨기에 온라인 쇼핑시장 기대된다”며 “이 같은 성장 추세에 맞춰 벨기에 진출을 원하는 한국 기업들은 온라인 시장을 활용한 시장 진출을 고려해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가격 요소가 소비자들의 구매에 있어 가장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으므로 가격경쟁력을 갖춘 후 진출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벨기에 시장을 진출하려는 한국 기업은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마케팅 전략을 세워 소비자와의 소통에도 신경 써야 한다”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