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지난 한 해 신규 벤처펀드 조성액과 벤처투자액이 모두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벤처투자가 최근의 사상 최고 수준 벤처붐을 이끌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벤처투자 시장이 모처럼 활기를 띠고 있는 가운데 창업초기기업 투자 비중 확대 및 민간자본의 벤처펀드 출자 증가, 선배 벤처기업의 재투자로 인한 선순환 구조 확산 등 벤처투자의 ‘질적 내용도 크게 개선’된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청이 22일 발표한 ‘2016년도 신규 벤처펀드 조성 및 신규 벤처투자 동향’에 따르면 신규 벤처펀드 조성은 전년(2조 7천146억 원) 대비 17.9% 증가한 3조 1천998억 원으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첫 3조 원대 진입했다.
신규 벤처투자액은 전년(2조 858억 원) 대비 3.1% 증가한 2조 1천503억 원을 달성했다.
특히, 벤처투자액의 최고치 재경신은 미국과 중국의 벤처투자가 각각 9.3%, 25.4% 감소하는 등 전 세계 벤처투자가 위축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뤄냈다는 점에서 매우 고무적인 성과로 받아들이고 있다.
창업 3년 이내 기업에 대한 투자 비중 확대
창업초기기업(설립 3년 이내) 투자 비중은 36.8%(7천909억 원)로 전년(31.1%, 6천472억 원) 대비 5.7%p 증가했으며, 2013년 대비 3년만에 2배 이상 증가했다. 반면, 후기단계 기업(설립 7년 초과)에 대한 투자 비중은 6.5% 감소하는 등 벤처펀드가 모험자본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한 것으로 보인다.
민간자본 최초 2조 원대 진입 등 민간자본 유입이 대폭 개선
민간자본의 벤처펀드 신규 출자는 전년(1조 4천932억 원) 대비 35.2% 증가한 2조 188억 원을 기록해 최초 2조 원을 돌파했으며, 2013년도 대비 3년 만에 2배 이상 늘었다.
또한, 전체 벤처펀드 조성액 중 민간자본 비중도 전년(55.0%) 대비 8.1%p 증가한 63.1%를 기록해, 2016년 벤처펀드 조성이 3조 원을 돌파할 수 있었던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선배 기업의 VC 설립․재투자 확대로 선순환 벤처 생태계 조성
선배 벤처기업의 벤처펀드 출자액은 전년(1천372억 원) 대비 51.5% 증가한 2천78억 원을 기록해 창업-성장-회수-재투자로 이어지는 벤처투자 선순환 생태계가 점점 활발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배 창업자 및 벤처기업의 창업투자회사(VC) 신설도 8개를 기록해 지속적인 증가 추세(2013:1개→2015:6개→2016:8개)다. 이런 추세를 고려하면 향후 선배기업 재투자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주요 벤처캐피탈 투자 현황
2016년도 가장 많은 투자한 벤처캐피탈은 한국투자파트너스㈜로 84개 기업에 총 1천482억 원을 투자했다. 이어 스마일게이트인베스트먼트가 40개 기업에 959억 원, 에스비아이인베스트먼트가 34개 기업에 878억 원을 각각 투자했다.
2016년 창업 초기기업(3년 이내)에 가장 많은 투자한 벤처캐피탈 역시 한국투자파트너스㈜로 24개 기업에 총 434억 원을, LB인베스트먼트가 15개 기업에 416억 원, 에스비아이인베스트먼트가 11개 기업에 396억 원을 각각 투자한 것으로 집계됐다.
주영섭 중소기업청장은 “미국, 중국 등의 글로벌 벤처투자가 좋지 않은 상황에서 신규 벤처펀드 조성과 투자액 모두 사상 최고치를 달성한 것은 매우 큰 성과이며, 특히, 창업초기 투자비중 확대, 민간자본과 선배 벤처의 참여활성화 등 질적인 수준도 크게 개선됐다는 것은 벤처투자 생태계 전반의 큰 진전이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주영섭 청장은 “역대 최고 수준의 벤처붐을 더욱 확산하고 질 좋은 일자리의 원천인 기술창업을 더욱 활성화해 저성장의 뉴노멀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올해도 모태펀드를 통한 벤처펀드 출자예산 확대 및 신규 민간 출자자 발굴 등 공격적인 벤처투자 정책을 추진해 융자가 아닌 투자 중심의 선순환 창업생태계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