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화학물질 취급 사업장 대진단한다
환경부는 유해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사업장 등 5대 환경 분야 6천783곳을 대진단했다. 유해화학물질 취급사업장, 상·하수도시설, 국립공원 등 5대 환경 분야에 대한 안전관리 취약시설을 집중 점검했다.
환경부는 ‘2017년 국가안전대진단’의 일환으로 국민 안전에 직접적인 영향이 있는 5대 환경 분야 6천783곳을 선정해 지난 6일부터 다음달 31일까지 54일간 안전진단을 실시한다. 5대 환경 분야 6천783곳은 유해화학물질 취급사업장 500곳, 상수도시설 1천23곳, 공공하수처리시설 597곳, 국립공원 4천652곳, 폐기물 매립지 11곳이다.
환경부는 5대 환경 분야 안전진단을 위해 차관을 단장으로 하고 5대 분야별 과장급을 팀장으로 하는 ‘환경 안전진단추진단’을 구성해 운영할 계획이다. 유해화학물질 취급사업장은 위험성을 고려해 500곳 전부를 민관 합동점검 방식으로 추진한다.
상·하수도시설 등 나머지 4개 분야는 관리 주체별로 자체 점검한 후 ‘안전진단추진단’이 10% 범위 내외에서 표본을 선정해 민관합동점검을 실시할 계획이다.
점검내용과 방법은 안전관리가 상대적으로 취약한 민간시설, 안전 기준이 없거나 같은 유형의 사고가 자주 일어나는 안전관리 사각지대를 집중적으로 살핀다. 또한 외부 민간전문가를 참여토록 해 민관합동점검반의 실효성도 높일 계획이다.
이번 안전진단 대상인 유해화학물질 취급사업장에 대해서는 고위험 사업장, 항만 내·외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등 위험 취약성이 높은 유해화학물질 안전관리 사각지대 위주로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설치·관리 기준 등을 준수했는지 여부를 중점적으로 점검한다.
환경부는 점검결과, 현장에서 시정 가능한 사항은 즉시 조치하고, 보수나 보강이 시급한 사항은 자체 가용재원을 활용해 3개월 이내에 끝낼 예정이다. 추가적으로 진단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할 계획이다.
이정섭 환경부 차관은 “안전관리가 상대적으로 취약한 민간시설 등 안전관리 사각지대를 중점적으로 점검해 실효성 있는 안전진단이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