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유라시아의 모든 차량에 Era-Glonass(이하 Glonass) 시스템 부착이 의무화된다. 그러나 중고차는 Glonass 시스템 사후 부착이 어려워 수출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KOTRA 블라디보스톡 무역관에 따르면 지난달 말, 연해주 Vladimir Miklushevskyi 주지사는 러시아 연방 부총리이자 극동연방관구 대통령 전권대표인 Yuri Trutnev의 블라디보스톡 방문에 맞춰 Era-Glonass 미부착 외국 중고차량 수입에 대한 일시적인 유예를 요청했다.
Glonass는 교통사고 발생 시 이를 중앙 관제소로 송신된 후 신속한 경찰 출동 및 피해 수습 지원하는 러시아 국가시스템이다. Glonass는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사고 경보 ▲정보 수발신 ▲네비게이션 등의 기능이 내장돼 있다.
교통사고 발생 시 해당 시스템은 자동적으로 전후방 및 측면 충격을 감지해 사고 정도를 파악하고 현장위치와 함께 위 모든 정보를 Glonass 위성 또는 GPS를 통해 중앙으로 송신하게 돼 있다.
Glonass 프로젝트는 지난 2009년 10월 28일 ‘러시아 산업 현대화 및 기술 발전을 위한 대통령 직속 경제 위원회’에서 최초 승인된 것으로, 주요 내용은 Glonass를 통해 러시아 내 긴급통화 112, 기존 국가 시스템의 통합을 꾀하는 것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설치 움직임이 미진하다. 러시아 정부 자료에 따라 Glonass 시스템이 제대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조건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첫째는 원활한 위성신호를 받을 수 있다는 것이며 두 번째는 운전자가 타고 있는 차량 모델이 사전 Glonass 충돌 테스트를 받았다는 것이다.
중고차의 경우 상황이 조금 더 복잡하다. 차량 생산 시 자동으로 Glonass 시스템을 붙이는 신차와 달리 중고차는 차량 수입통관 후 Glonass 기기를 별도로 구입해 차량 내 설치해야 하는 상황이다.
KOTRA 블라디보스톡 무역관 측은 “이번 Glonass 설치 의무화는 러시아 내 타 지역보다 극동지역에 미치는 영향이 큰데 극동 러시아 차량 시장 공급에 있어 일본산 등 중고차 수입 비중이 아직까지는 절대적으로 높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Glonass 시스템 부착 의무화 등도 결국 비관세 장벽 등으로 작용할 수 있다”며 “특히 자동차, 기계 등 러시아 정부가 추진하는 ‘제조업 육성정책’에 포함되는 주요 산업들은 앞으로도 이러한 기준, 사양, 시스템 등의 마련을 통해 외국 수출자를 압박하는 수단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