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트럼프 정부 출범 한 달, 한국 무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을까.
한국무역협회는 20일 대외경제정책연구원과 공동으로 서울 삼성동 트레이드타워에서 ‘미국 통상정책 평가 및 전망 대토론회’를 열고, 트럼프 행정부 출범과 함게 급변하는 글로벌 통상환경을 점검하고 그에 따른 우리 기업의 대응방안을 모색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취임 직후부터 TPP 탈퇴, NAFTA 재협상 등 공세적인 행보를 보이는 만큼 우리 무역업계는 미국의 통상정책을 분석하고 어떻게 보호무역주의 파고를 극복하면서 새로운 성장전략을 수립할 것인가 고민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첫 번째 발표자로 나선 현정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원장은 미국 신행정부 통상정책 평가 및 전망에 대해 발표했다. 현정택 원장은 한미 FTA의 긍정적인 효과를 홍보함으로써 상호 신뢰기반을 확대하고 대미국 수입과 투자를 늘려 나가야 한다고 강조하며 미국의 통상 압력에 대한 과도한 우려는 자제해 줄 것을 당부했다.
두 번째 발표자인 신승관 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장은 미국-중국 간 무역분쟁과 우리 무역업계 영향과 관련, 미-중 통상마찰이 한국의 중국, 미국 수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국은 무역의존도가 높고 G2(미국, 중국)의 수출 비중이 40%에 이르기 때문에 최악의 상황에 대비한 비상계획(Contingency Plan)을 마련할 것을 강조했다.
주제발표 이후, 서울대 박태호 교수 사회로 진행된 대토론회에는 무역업체 대표, 교수 등이 패널로 참가한 가운데 각 기관 및 연구소, 기업체 임직원 등 100여 명이 참석했다. 특히 무역업에 종사하고 있다는 한 참석자는 베트남, 멕시코 등 해외에 투자한 우리 기업의 대응방안에 대해 전문가들의 의견을 구하기도 했다.
대토론회를 주관한 김인호 무역협회 회장은 인사말씀에서 “한국 무역은 위기를 기회로 바꿔왔고 환경의 변화를 혁신의 계기로 삼으며 성장해 왔다”고 강조하며, “우리 기업들은 보호무역주의에 맞서 생산 및 투자전략을 수립하고, 기업가 정신과 함께 구조적 혁신을 통해 경쟁력을 제고시켜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