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무협, 중소·중견기업 역량 강화 정책 최우선시 돼야 해
최시영 기자|magmacsy@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무협, 중소·중견기업 역량 강화 정책 최우선시 돼야 해

중소기업의 역량 강화 위해 인력난 해소 정책 추진 요구↑

기사입력 2017-06-16 19:31:05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산업일보]
무역업계가 새 정부의 무역·통상 정책 중 ‘중소·중견기업의 역량 강화’를 최우선시 해야 한다는데 목소리를 높였다. 또한 이를 위해서는 ‘인력난 해소’가 가장 중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한국무역협회(이하 무협) 국제연구원은 16일 ‘새 정부의 무역·통상 정책에 대한 무역업계의 우선순위 설문조사’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국내 수출기업 579개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전체 응답기업의 61.5%가 새 정부의 무역·통상 부문 주요 공약 중 ‘중소·중견기업의 역량강화를 통한 수출 외연 확대’를 최우선 과제로 꼽았다.

이어 ‘통상외교 역량 강화(20.6%)’, ‘주력산업의 경쟁력 제고(11.6%)’, ‘신산업 육성을 통한 수출 구조의 고도화(6.4%)’가 뒤를 이었다. 반면 대기업은 통상외교 역량 강화를 가장 중요한 과제로 선정해 중소·중견기업과 확연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무협은 중소·중견기업의 역량 강화를 위해 정부가 중점적으로 추진해야할 정책으로 ‘중소기업의 인력난 해소’가 과반을 차지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무역업계는 중장기적 발전을 위한 과제로 ‘환율 안정’과 ‘외국의 무역장벽 완화’가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했다. 환율 안정에 대한 응답은 대기업에 비해 중소·중견기업이 높게 나타났고, 외국의 무역장벽 완화에 대한 응답은 대기업이 중소·중견기업에 비해 높게 나타나 중소·중견기업은 환율 안정, 대기업은 외국의 무역장벽 완화에 높은 가중치를 두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제무역연구원 김건우 연구원은 “최근 세계 경기의 개선에도 불구하고 보호무역주의 확산과 주력산업의 경쟁력 제고 문제 등 다양한 무역·통상 관련 현안이 대두되고 있다”며 “일자리 창출과 수출저변 확대를 위해서는 중소기업의 수출증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안녕하세요. AI와 로봇에서부터 드론과 사물인터넷 등 첨단 기술에 대한 정확한 정보전달을 해 나나가겠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