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아파트 내 전기차 충전기 설치 반대, 대안은 'RFID 태그'
김민솔 기자|mskim@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아파트 내 전기차 충전기 설치 반대, 대안은 'RFID 태그'

기사입력 2017-06-21 18:32:20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아파트 내 전기차 충전기 설치 반대, 대안은 'RFID 태그'
[산업일보]
전기자동차를 구매할 경우 최대 1천900만 원의 구매 보조금과 함께 단독주택의 경우 완속 충전기도 무료로 지급하고 있지만 아파트에 거주하는 주민의 경우는 사정이 다르다.

부산시에 따르면 부산의 전체 가구 수 134만3천525호 가운데 절반이 넘는 52.8%에 해당하는 70만9천802호가 아파트에 거주하고 있다. 아파트 입주자가 주차장에 개인용 충전기를 설치하겠다고 나서면 주차면 독점과 특혜 등의 이유를 들어 다른 입주민의 반대로 결국 전기차 이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부산시는 이 같은 아파트 입주자의 전기차 이용상의 어려움도 해결하고 전기차 이용 활성화 정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아파트 주차장 기둥에 설치된 콘센트에 RFID태그를 붙여 충전하는 방식의 전기자동차 충전인프라 구축에 나선다. 이를 위해 2020년까지 아파트 주차장에 충전용 RFID태그 3만개를 설치한다는 계획이다.

부산시는 22일 시청 기후환경국장실에서 전국아파트 입주자 대표회의 연합회 부산시지부, ㈜파워큐브와 아파트 주자장 전기차 충전인프라 구축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한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5월 발표한 ‘전기자동차 보급 촉진 및 이용 활성화 계획’에 따른 후속 조치다.

계획안을 보면 2020년까지 전기자동차 1만대를 보급하기 위해 시내 전역에 공공용 급속충전기 500기와 공공기관에 완속충전기를 설치하는 것 외에도 전기차 소유자가 거주하는 공간을 중심으로 충전인프라를 구축토록 하고 있다.

전기차 충전요금은 ‘스마트폰 사용자에게 통신요금을 부과하는 것’처럼 어느 곳의 콘센트를 사용해 충전하더라도 전기요금이 충전기 사용자에게 부과된다. 전기차 충전기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 없고, 기존의 220V 콘센트만 있으면 되기 때문에 아파트 주차장에서 자유롭게 충전을 할 수 있어, 아파트 주민의 전기자동차 구매 수요 증가로 이어 질 전망이다.

아파트 주차장 전기차 충전시스템
▲아파트 벽면 또는 기둥에 설치된 220V 콘센트에 휴대용 충전기를 연결해 전기차 충전
▲콘센트에 RFID태그를 부착, 사용자에게 전기요금 부과
▲공용 전기사용량에서 충전 사용분을 공제하므로 전체 입주민에게 요금 전가가 없음
▲별도의 충전기 설치가 필요 없고, 주차면 독점문제가 해결돼 아파트 거주자의 편안한 전기차 이용이 가능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산업2부 김민솔 기자입니다.정부 정책 및 3D 프린터, IT, 산업현장 숨어있는 특화된 뉴스를 전해드리겠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