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자부, 4차 산업혁명시대 대응방안 논의
‘차세대 정보자원관리 정책토론회’ 개최
전 세계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면서 그에 따른 정책을 발표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한국도 정부 차원의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행정자치부(이하 행자부)는 4차 산업혁명의 혁신적 기술 등을 공공부문에 도입·확산하고 활용함에 따른 선도적인 대응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차세대 정보자원관리 정책토론회’를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와 방청객 1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지난 2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개최했다.
기조연설과 주제발제로 이뤄진 이번 토론회에서, 국정기획자문회의 노규성 4차 산업 전문위원은 ‘4차 산업혁명이 공공업무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주제로 기조연설을 진행했다. 주제발제는 ▲공공서비스에 ICBAM 적용·확산을 위한 전략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정보자원관리 전략수립 방향 ▲정보자원관리를 위한 차세대 전략 수립 등에 대해 각 분야 전문가들이 이어갔으며 이후 패널토의가 이뤄졌다.
현재 정부는 각 기관에서 4차 산업혁명의 새로운 정보기술을 활용해 행정업무 추진 및 대국민 서비스를 계획하고 있다. 그러나 범정부 차원의 전략이 마련되지 않을 경우 새로운 정보기술을 활용한 서비스 및 데이터가 여러 기관에서 중복개발 되거나 관리·활용의 효율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정부의 정보자원관리 정책 마련이 중요하다는 것이 행자부의 입장이다.
토론회에 참석한 정윤기 행자부 전자정부국장은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한 전자정부 서비스, 빅데이터, 인공지능 활용 등의 4차 산업 기술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범정부 정보자원관리 전략을 새롭게 발전시켜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한국 정부가 4차 산업혁명 도래에 선제적으로 전략을 수립해 대응한다면 전자정부 선도국가로의 위상을 이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