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산업 중 해양레저장비 제조업 성장세
해운·항만물류 관련 정보업과 수산물 유통 및 판매업 등이 괄목할만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부산시가 지난 4월과 5월에 실시한 2016년 기준 부산시 해양산업조사 결과 이 같이 밝혀졌다.
이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해양산업을 영위하는 사업체 수는 2만6천408개, 종사자 수 15만4천86명으로 전년대비 1% 초반의 소폭 증가율을 보였다. 남자는 해운·항만물류, 여자는 해양관광 분야에 가장 많이 종사한 것으로 집계됐다. ‘해양산업’이 부산시 전체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사업체수 9%, 종사자 11%, 매출액은 약 14% 수준이다.
해양관광 관련서비스업을 포함 해양관광업 전반적 산업은 매년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해운·항만물류 산업 분야 중 해상통신 및 IT산업(↑112.9%), 수산 산업 분야 중 수산물 유통 및 판매업(↑11.5%), 조선 산업 중 해양레저장비 제조업(↑18.3%) 등이 괄목할만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부산시 해양산업 발전을 위한 현안으로 ‘가격 경쟁력 향상’과 ‘관련업체/기관과의 협력 강화’를 꼽았으며, 해양제조업에서의 부산시 경쟁력 수준은 ‘품질과 기술력’이 가장 높다고 응답했다.
부산시는 “부산을 동북아 신 해양산업 중심지로 육성하고자 하는 정부정책과 발맞춰 스페인 라스팔마스시와 조선해양기자재, 해양플랜트 등 해양산업분야 등에서 적극교류를 위한 협력 의향서 체결, 해양수산 국제협력 콘퍼런스를 부산에서 개최하는 등 해양산업 선진화와 발전을 위한 다각적인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밝혔다.